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강력한 거리두기'… 5·18 40주년 주요 행사 줄취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만명 참여 ‘전야제’ 전면 취소 / 16일 국민대회 등도 없던일로 / 정부 기념식만 예정대로 개최

세계일보

지난 2019년 5월 17일 5·18 민주화운동 39주년 전야제 참가자들이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옛 전남도청으로 행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면서 대규모로 준비했던 전야제 등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행사 대부분이 취소됐다. 5월 18일 당일 정부 주관 기념식은 코로나19 방역기준에 맞춰 열릴 것으로 보인다.

5·18기념재단과 제40주년 5·18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기념행사위)는 코로나19 확산 방지 취지에서 전야제를 비롯한 다중이 모이는 5·18 기념행사를 취소한다고 8일 밝혔다.

시민사회단체 주관으로 수만 명의 시민이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에 모이는 5·18전야제를 전면 취소했다. 5·18전야제는 금남로 일원에서 당시 상황을 재현하며 항쟁의 뜻과 정신을 기리는 행사다.

5·18전야제는 우천으로 2차례 축소된 적이 있지만 전면 취소되기는 행사가 본격화된 1988년 이래 32년 만에 처음이다.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권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만 명의 시민이 전야제에 모이도록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판단에서 기념행사위가 취소한 것이다.

세계일보

지난 2019년 5월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에서 5·18 민주화운동 당시 가두방송 재연에 나선 시민이 이날 저녁 열리는 '5·18 39주년 전야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5월 16일 예정됐던 국민대회도 취소했다. 이 자리에선 5·18 항쟁 당시의 궐기대회 형식과 내용으로 5·18 진상규명과 적폐 청산, 사회 양극화, 소수자 옹호 등의 목소리를 낼 계획이었다.

또 민주기사의 날을 비롯해 청년 마당, 오월 캠핑촌, 동네 5·18 등 시민들이 모이는 대부분의 행사도 취소했다.

다만 기념행사위는 5·18정신을 선양할 수 있는 사업을 찾아 추진하기로 했다. 5·18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가 주관하는 추모식과 부활제는 참석 인원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를 지키며 진행한다.

국가보훈처가 주관하는 5월 18일 당일 정부 공식 기념식은 취소하지 않고 코로나19 상황과 방역 기준에 맞춰 행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철우 5·18 상임행사위원장은 “행사를 축소하고 취소하더라도 40주년이 갖는 의미와 가치는 간단하게 정리해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며 “지난 40년을 성찰하고 오는 40년 이후를 꿈꾸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