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미국대선] 샌더스 포기로 '트럼프 대 바이든' 맞대결..'백인 중도층' 잡기 진검 승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미국 민주당의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8일(현지시간) 대선후보 경선 중단을 전격 선언했다. 이로써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민주당의 대선 후보로 사실상 확정됐다. 오는 11월 3일 대선도 공화당 후보로 나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민주당의 바이든 전 부통령의 양자 대결로 치러지게 됐다.

샌더스 의원은 이날 버몬트주 자택에서 지지자들에게 보내는 동영상을 통해 "국가적 위기가 조여오는 상황에서 더 이상 승산없는 선거 운동을 지속하기가 어렵다, 이는 어려운 시기에 우리 모두에 요구되는 임무 수행을 방해하게 될 것"이라며 경선 운동 중단을 선언했다.

뉴스핌

[워싱턴D.C. 로이터=뉴스핌] 이영기 기자 = 15일(현지시간) 미국 대선 민주당 경선주자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TV토론회에서 악수 대신에 발꿈치 인사를 하고 있다. 2020.03.16 007@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당내 진보그룹과 청년층의 강력한 지지를 받아온 샌더스 의원은 이번 민주당 경선 초반 선두로 치고 나오면서 돌풍을 일으켰다. 한때 '대세론'을 누렸던 바이든 전 부통령은 중도파 후보 난립 속에 군소 후보로 전락할 위기에까지 내몰렸다.

그러나 과격한 진보 정책을 내세운 샌더스 의원에 대한 견제 심리가 고조되고,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본선 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고개를 들면서 중도파 후보군이 바이든 전 부통령으로 사실상 단일화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샌더스 의원은 지난 3월 3일 슈퍼 화요일과 뒤이은 10일 '미니 슈퍼 화요일' 경선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에 완패하며 패색이 짙어진데다가 코로나19 사태까지 덮치면서 반격의 기회를 잡지 못하며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민주당 지도부는 물론 선거 캠프 내에서도 사퇴 압력이 높아지자 결국 경선 중단을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샌더스 의원은 이번에 후보 사퇴를 하지는 않았다. 자신을 지지하는 진보파 대의원의 표를 계속 결집해 민주당과 바이든 전 부통령의 대선 공약에 진보 어젠더를 반영시키겠다는 포석이다.

어쨌든 바이든 부통령과 민주당은 샌더스 의원의 조기 경선 포기로, 당내 결속을 다지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맞대결을 준비할 여유를 갖게됐다. 샌더스 의원은 지난 2016년 대선 경선 막판까지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치열한 경합을 벌여 극심한 당내 후유증을 남겼다. 당시 샌더스 의원 열성 지지층과 진보파들이 클린턴 후보에 끝내 등을 돌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일조했다는 지적까지 나올 정도였다.

뉴스핌

[샬럿 로이터=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지지자들 앞에서 유세연설을 하고 있다. 2020.03.02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엔 민주당은 바이든 전 부통령을 중심으로 한 단일 대오를 형성, 트럼프 대통령과 진검승부를 벌일 수 있게 됐다.

특히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전 부통령의 양자 대결은 '백인 중도층 표심'이 승부처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보수층과 공화당의 지지는 더없이 견고한 상태다. 반면 바이든 전 부통령은 흑인 등 소수 인종 유권자의 강한 지지를 받고 있고, 샌더스 의원의 퇴장으로 진보층의 지지도 쉽게 흡수할 전망이다.

남은 것은 백인 중도층의 부동표다. 바이든 전 부통령이 경선 초반 어려움을 딛고 대세론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도 그가 중도층 표심을 끌어들이는데 성공하면 트럼프 대통령에 승리할 수 있다는 기대가 크게 작용했다.

따라서 '70대 백인 남성 후보'라는 공통점을 지닌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전 부통령은 향후 미국 내 '러스트 벨트(쇠락한 공업지대)'에 광범위하게 포진한 백인 저소득층과 중도층의 표심을 잡기 위해 진검 승부를 펼칠 전망이다. kckim100@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