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대학이 뭘 했나”···‘가난을 도둑맞은 대학생’의 분노의 대자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서울대 대자보숲’ 페이스북 페이지


코로나19로 인해 대학들의 개강이 한 달 넘게 미뤄지자 ‘교육권 침해’라며 분노하는 대학생이 늘고 있다. 온라인 강의가 부실하다는 지적과 함께 등록금 환불 요구도 커지고 있다.

9일 대학가에 따르면 최근 서울대 학생회관 앞에는 ‘코로나19, 대학은 한 게 무엇인가’라는 제목을 단 대자보가 게시됐다.

자신을 ‘가난을 도둑 맞은 대학생’이라고 소개한 대자보 작성자는 “우리는 대학이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한 책임을 다할 것을 요구한다”며 “만일 교육권을 보장할 수 없다면 학생들에게 등록금을 환불하라”고 주장했다.

작성자는 “개강이 4월 중순으로 미뤄졌지만 또 언제 연기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사이버 강의로 전환한다지만 학우들의 걱정은 늘어만 간다”며 “사회적 거리두기의 상황에서 개인의 PC 보유는 필수다. 그러나 등록금과 월세, 생활비도 부족한 대학생에게 100만원 상당의 노트북은 사치”라고 꼬집었다.

온라인 강의에 대해서는 “급하고 조잡하게 만든 수업자료, 10년 전 녹화한 강의를 틀어주는 만행, 우리는 더 이상 가만히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실습 과목이 많은 학과 학생이 실습을 못 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경향신문

지난 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린 코로나19 대학가 재난시국선언 기자회견에 참석한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 소속 학생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전대넷은 자체 조사에서 학생들의 원격강의 만족도가 6.8%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등록금 반환 등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업권 침해에 대한 대학생들의 불만은 커지고 있다.

대학 학생회 연대체인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는 지난 6일 “수업권 침해, 등록금 부담, 주거불안, 생계 대책까지 중첩된 상황 속에서 대학생들의 고통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며 상반기 등록금 반환과 원격 강의 대책 마련을 정부와 대학에 촉구했다.

정부와 대학은 학생들의 등록금 반환 주장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 7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신임회장단과 간담회 자리에서 최근 학생들이 제기한 (등록금) 문제를 이야기했다”며 “학생들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갓 논의를 시작한 단계”라고 밝혔다.

그러나 학생들의 요구와 달리 대교협은 이날 등록금 일괄 환불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다. 대교협은 원격수업으로 인한 서버 증설과 코로나19 방역 등 추가 비용 발생을 이유로 등록금 환불 대신 교육부 지원을 통한 장학금 확대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해람 기자 lennon@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