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이라서 일정 부분 혼란은 감수할 수밖에 없다. 개학 후 이틀을 원격수업 적응 기간으로 했지만 충분치 않다. 그렇다고 적응하는데 마냥 시간을 쓸 수 없다. 처음 닥친 일이라서 어쩔 수 없다고 한탄하는 데 그쳐서도 안 된다.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이라는 위상에 걸맞게 기본 인프라가 구축돼 있는지 돌아봐야 한다. 스마트 기기 갖추기, 온라인 접속 안정성은 기본이고 학교별, 개인별 '교육 격차' 해소도 필수다. 원격수업용 기기가 없는 학생이 22만3천여명이라고 한다. 신속하게 지원돼야 한다. 장애 학생들을 위한 자막 및 수어 영상, 방문 교육 제공 같은 배려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교사들의 외부 저작물 활용에 융통성을 줘야 하고 수업 내용 유출을 막아야 한다. 일부 학생은 사설 학원에 가서 온라인 수업을 듣는 부작용도 나타났다. 상당수 학원이 학교 원격수업을 위한 '자습 공간'을 제공키로 했다고 한다. 산만할 수 있는 집보다는 학원이 나을 것이라며 일부 동의할 수는 있겠지만, 이는 집단감염으로부터 학생을 보호하려는 원격수업의 취지를 무색게 하는 행위다. 학원이 꼼꼼한 방역 조처를 한다고 해도 학생들이 몰린다면 위험에 노출된다. 당국의 명확한 지침과 엄정 대응이 필요하다.
비대면 개학이라도 학생 간 오프라인 모임과 학원 쏠림 현상이 늘 수 있어 학생들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질 수 있다. 또 다른 집단감염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학생 자신은 물론 학부모와 학원들의 자발적인 협조가 절실하다. 미증유의 교육 실험인 만큼 할 일이 태산이고 갈 길이 멀기만 하다. 등교 수업이 언제 가능할지 섣불리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당장 눈앞의 과제는 원격수업에 따른 시행착오와 혼란 최소화다. 모든 교육 주체가 힘을 모아야 교육 정상화를 최대한 앞당길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초래한 혼란은 모두에게 혹독한 시련이지만 새로운 역량을 축적할 시험대이기도 하다. 교육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온라인 교육 발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육 방식을 혁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ICT 분야에서 많은 역량과 무한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이번 사태를 슬기롭게 극복한다면 온라인 교육 분야를 선도하는 국가로 올라설 수 있다. 더 넓게는 국가의 정보화 수준을 높이고 격차를 줄이는 노력을 앞당길 자산과 경험을 축적할 수 있다. 위기를 최대한 기회로 활용하는 역발상의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