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바깥양반’ ‘안사람’ 옛말… 75% “남녀 모두 가구소득 기여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성은 생계를 책임지고 여성은 가족을 돌봐야 한다는 인식이 옛말이 됐다.

현재 우리나라 가구의 74.5%는 남성과 여성 모두 가구소득에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남성의 역할은 밖에서 돈을 버는 것이고 여성은 가정과 가족을 돌봐야 한다는 생각은 4.5%에 불과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가 지난해 2~5월 복지패널 6331가구를 대상으로 가족 관계와 가족 내 성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 여성의 전일 근로제가 가족생활을 힘들게 한다는 항목에서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51.5%로, ‘그렇다’(38.2%)보다 많았다. 미취학 아동의 어머니가 일을 하면 아동에게 나쁘다는 항목에서는 ‘그렇지 않다’가 44.1%로, ‘그렇다’(39.9%)보다 높았다. 다만 전업주부로 일하는 것이 밖에서 돈을 버는 것만큼 중요하다는 데 동의한 가구가 61.7%로 집계돼 가정에서 여성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가구가 많았다.

2018년 한 해 동안 가족 내 갈등을 초래한 원인을 묻는 항목에서는 ‘가구원의 건강’이 47.6%로 가장 많았고, ‘경제적 어려움’이 21.6%로 뒤를 이었다. 저소득 가구(소득 중위 60% 미만)의 61.9%는 ‘가구원의 건강’을 가족 갈등의 주원인으로 꼽았다. 저소득 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가구에서 ‘가구원의 건강’을 꼽은 비율은 40.1%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복지예산을 늘리기 위해 세금을 더 걷어야 한다’는 주장에는 찬성(41.6%)이 반대(35.5%)보다 높았다. 다만 저소득 가구의 찬성 비율(38.6%)은 일반 가구(41.9%)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