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시민사회단체 “용역 배경에 의문”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시, 환경 훼손 우려로 무산된 케이블카 사업 타당성 검토

환경 훼손 우려로 무산된 케이블카 사업에 대해 부산시가 타당성 검토에 나섰다. 4년 전 “특혜로 얼룩질 사업”이란 시민 반발과, “경제성이 낮다”는 부산연구원의 보고로 사실상 백지화된 사업이다.

민간사업자가 공식 사업 신청을 하지도 않았는데 부산시가 타당성 조사에 나서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부산시는 지난 8일 신규 관광자원 개발 기본계획 수립·타당성 조사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자문단을 구성해 상시 자문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이날 보고회는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용역업체가 부산시 과업지시서를 검토한 결과와 사업 여건, 추진 계획 등을 발표했다.

부산시는 타당성 검토 대상 사업이 10여개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핵심은 케이블카 사업 2건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두 사업은 부산 남구 이기대∼해운대구 동백섬 해상케이블카와, 부산 도심의 황령산 전망대·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으로 시민·환경단체의 거센 반발을 일으켰다.

해상케이블카는 광안리 바다 위로 4.2㎞의 케이블카를 설치하고 수면 위로 100m에 달하는 지주를 세운다는 계획이어서 환경 파괴와 안전성·특혜 문제가 대두됐다. 2016년 이 사업이 추진되자 환경단체들은 “공공자산인 광안리 바다를 관광시설이라는 명목으로 개발업자에게 돈벌이 공간으로 내주는 특혜”라고 반발했다.

황령산 케이블카는 황령산 정상 봉수대 일대에 105m 높이의 전망대를 짓고 길이 539m의 케이블카를 설치한다는 계획으로 올해 1월 민간업체의 제안이 부산시에 접수됐다. 곧바로 특혜 및 환경 파괴 논란이 일었다. 환경단체들은 “이 업체는 공공자산인 송도해수욕장에 케이블카를 만들어 초과 수익을 지자체에 돌려주지 않고 이윤만 추구한 업체”라며 “황령산은 수많은 개발사업에서도 부산시민이 지켜온 산으로, 개발이 아니라 망가진 자연을 재생·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시는 “특정 사업을 염두한 것이 아니라 부산이 국제관광도시로 가기 위해 어떤 사업이 필요한지 원점에서 검토해 보겠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환경단체는 즉각 반발했다. 이준경 생명그물 대표는 “이미 무산됐거나 반대가 심한 사업을 부산시가 왜 다시 들고나오는지 알 수 없다”며 “이번 총선에서도 여야 가릴 것 없이 각종 개발공약이 너무 많은데 부산시도 환경 파괴가 우려되는 방향으로 시정을 운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권기정 기자 kwon@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