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탈리아 확진·사망 다시 증가세…"봉쇄 조처 이달말까지 연장"(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누적 확진 14만3천626명, 4천204명↑…사망 1만8천279명, 610명↑

"정부, 봉쇄 조처 2주 연장 방침…외출제한은 내달 3일까지 유지"

연합뉴스

코로나19 봉쇄령 위반자 단속 나선 이탈리아 경찰
(로마 AF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봉쇄령이 내려진 이탈리아 로마에서 8일(현지시간) 한 경찰관이 거리를 순찰하고 있다. ymarshal@yna.co.kr



(로마=연합뉴스) 전성훈 특파원 = 이탈리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및 사망자 수가 모두 증가했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9일 오후 6시(현지시간) 기준으로 누적 확진자 수가 14만3천626명으로 전날보다 4천204명(3%) 늘었다고 밝혔다.

하루새 새로 발생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증가한 것이다. 지난 5일부터 3천명대를 유지해온 일일 신규 확진 규모가 나흘 만에 다시 4천명대로 늘었다.

신규 확진 규모는 지난 4일 4천805명, 5일 4천316명, 6일 3천599명, 7일 3천39명 등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 전날 3천836명으로 상승 전환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610명(3.5%) 많아진 1만8천279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신규 사망자 수는 전날 542명에서 68명 늘었다. 일관된 추세 없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모양새다.

누적 확진자 수 대비 누적 사망자 수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은 12.73%다.

누적 완치자 수는 1천979명 증가한 2만8천470명으로 파악됐다. 또 중증 환자 수는 3천693명으로 전날보다 88명 줄었다. 엿새 연속 감소세다.

연합뉴스

이탈리아 나폴리에 도착하는 코로나19 조립식 병원
(나폴리 EPA=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수용을 위해 조립식 병원 설비를 적재한 트럭 행렬이 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남부 도시 나폴리의 오세페달레 델 마레 종합병원에 도착하고 있다. 언론들은 봉쇄령 탓에 자택에 머물고 있는 현지 주민들이 트럭들을 맞이하며 환호를 보냈다고 전했다. jsmoon@yna.co.kr



이런 가운데 이탈리아 정부가 오는 13일까지인 봉쇄 조처를 최소 2주 이상 추가 연장하는 쪽으로 사실상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ANSA 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정부가 비필수 업소 및 사업장 폐쇄 등의 조처를 2주 연장할 예정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전 국민 외출제한령도 내달 3일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3대 전국 노조 가운데 하나인 이탈리아노동연합(UIL)도 이날 주세페 콘테 총리를 비롯한 내각 장관들과 면담을 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부가 내달 3일까지는 봉쇄 조처를 유지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전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노조 측은 "콘테 총리가 당장은 봉쇄 조처를 풀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연장 방침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상황이 허락한다면 제한적인 영역의 생산활동에 한해 이달 말 이전에 재개를 허용할 수 있다는 뜻을 피력했다고 한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임시병원으로 개조된 이탈리아 페리선
(로마 EPA=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비상 사태를 겪고 있는 이탈리아 항구도시 제노바에서 8일(현지시간) 방호복과 마스크를 착용한 의료진이 부두에 정박 중인 페리선 GNV 스플렌디드 앞을 걸어가고 있다. 이 선박은 코로나19 환자가 늘어나자 이들을 수용할 임시병원으로 개조돼 사용되고 있다. ymarshal@yna.co.kr



이탈리아는 지난달 9일 전국 이동제한령을 내린 데 이어 2주 뒤에는 자동차·섬유·가구 등 비필수 사업장의 생산활동 중단 조처를 단행했다. 식당·술집 등의 업소도 영업이 중단된 상태다.

앞서 콘테 총리는 이날 영국 공영방송 BBC와의 인터뷰에서 전문가들의 승인을 전제로 이달 말부터 봉쇄 조처를 단계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콘테 총리는 이르면 10일 내각회의를 열어 봉쇄 조처 연장 방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한편, 이탈리아와 미국 간 합작 자동차업체인 피아트크라이슬러는 정부의 봉쇄령 완화와 동시에 이탈리아 내 생산공장을 재가동할 수 있도록 노조 측과 노동자 안전 대책에 합의했다고 ANSA 통신은 전했다.

합의안에는 전 사업장에 대해 ▲ 마스크 착용 의무화 ▲ 출근시 체온 측정 ▲ 최소 1m 이상의 안전거리 유지 ▲ 손소독제 등 위생 제품 구비 ▲ 스마트 근무(재택근무) 활용 등이 담겼다.

luch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