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가업 승계, 전략없이 진행했다간 세금 폭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영옥 이데일리경영지원단 팀장] 경기도에서 전자부품 제조기업을 운영하는 A대표는 장남을 후계자로 점찍어두고 가업 승계를 계획했지만, 확실한 지분구조 실패와 과도한 상속세 부담으로 망설이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사례에서 가업 승계 시 상속 및 증여세 최고 세율은 50%이며, 최대주주 주식에 대한 할증 평가가 더해지면 최고 60%의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이에 중소기업 대표들은 가업 승계보다 폐업 후 유산을 상속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가업 승계에 대한 준비를 미리 한다면 상속인이 부담할 세금의 규모는 달라진다.

이데일리

가업 승계 시 가장 먼저 살펴봐야 할 부분은 가지급금, 명의신탁주식, 지배구조개선, 적정수준 주식가치평가, 경영권 다툼예방 등이다. 이를 계속 방치하면 원활한 가업 승계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정부의 지원제도를 이용해 절세 전략을 세울 때 기업의 경영방향, 활용요건, 사후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활용해야 한다.

대표적인 지원 제도로 가업상속공제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기업 영위기간에 따라 200억 원에서 최대 500억 원까지 상속 재산에서 공제해주는 제도로 피상속인이 10년 이상 영위, 기업 최대주주로 50% 이상 지분 보유, 승계자가 18세 이상 자녀로 가업에 종사한 지 2년이 지난 경우에 해당한다.

주식증여특례, 창업자금증여특례 등의 지원제도도 활용할 수 있다.

단, 가업 승계 관련 정부의 지원 제도를 활용하려면 증여일 이후 10년 동안 각 지원 제도의 사후관리 요건을 지켜야 한다.

정부의 지원제도 활용 외에도 차등 배당, 지분 이동 등 여러 방법이 있다.

가업 승계는 전략없이 진행하면 막대한 세금과 함께 경영권 박탈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기업 상황에 맞춰 합법적인 방법을 찾아 진행해야 하며 활용 방법에 따라 충족요건, 사후관리가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종합적인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