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국내 코로나19 초기 확진자 중 10%가 무증상 감염자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려대구로병원, 초기 28명 환자 분석

한국 연구팀 최초로 NEJM에 논문 게재

28명 중 20명만 유증상, 발열은 8명 뿐

"무증상 상태서 전염력 여부 연구해야"

뉴시스

[서울=뉴시스]고려대구로병원 연구진에 따르면 국내 초기 코로나19 확진환자 28명 중 10%가 무증상 감염자였다. 왼쪽부터 송준영, 정희진, 김우주 교수(사진=고려대구로병원 제공) 2020.04.10.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국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초기 확진환자 중 10%가 증상이 없는 '무증상 감염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려대학교구로병원 감염내과 송준영, 정희진, 김우주 교수 연구팀은 10일 이같은 내용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이 논문이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 실렸다고 밝혔다.

고려대구로병원은 "한국인 연구팀의 코로나19 관련 논문이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NEJM에 실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코로나19 국내 초기 확진자 28명을 분석한 결과 3명은 무증상 감염자였으며, 이들은 감염된 본인도 증상을 느끼기 어려울 정도로 증상이 없었다.

연구진은 "28명 환자들의 증상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호흡기질환과는 다른 다양한 증상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방역이 어렵다"고 분석했다.

특히 국내 발생 초기에 제시됐던 코로나19의 증상은 발열, 기침, 인후통이었는데 28명 중 20명에서만 증상이 나타났다.

20명 중 8명(40%)에서만 초기에 발열이 있었으며, 기침이나 인후통 등의 호흡기증상이 없는 환자도 있었다. 또한 일부에서는 가벼운 기침 증상만 나타났으나 반대로 심한 인후통을 호소하는 환자도 있었다.

논문 제1저자인 송준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코로나19가 다른 호흡기 감염질환과 증상이 유사해 임상적으로 감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증상 발현 시점 자체가 모호해 일선 병원에서의 조기 진단이 어려운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고 말했다.

정희진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무증상 전파는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며 "무증상 상태에서도 타인을 전염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비전형적인 초기 임상적 특성이 방역을 어렵게 하는 대표적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김우주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무증상 또는 경증 상태에서도 은밀하게 타인을 전염시키는 ‘스텔스 바이러스’라고 볼 수 있다"며 "무증상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전파력을 갖고 있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특성을 주시하고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owest@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