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봄 되면 ‘꾸벅꾸벅’… 이런 춘곤증이라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카페인 음료 지양해야… 고단백·저탄수화물 식단 권장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쿠키뉴스] 한성주 기자 =봄이 되면 쉽게 피로를 느끼고 졸음이 쏟아진다. 우울감과 무기력감을 느끼기도 한다. 춘곤증은 많은 이들에게서 보편적으로 관찰되지만, 공식 질병은 아니다. 봄철 몇 주간 나타나는 증세로, 3개월 이상 피로가 지속되는 만성피로와 구분된다.

춘곤증의 주요 원인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생체리듬 변동이다. 봄이 되면 겨울에 비해 일조시간이 길어진다. 사람들의 활동량도 이에 비례해 늘어난다. 증가한 활동량에 인체가 적응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피로도가 높아진다. 피로 회복에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졸음이 찾아오는 것이다.

심리 상태의 변화도 춘곤증과 관련이 있다. 학생들에게 봄은 새 학기 학업,교우관계 스트레스가 과중되는 시기다. 직장인들은 인사,승진발표로 심리적 압박을 느끼기도 한다. 이 같은 긴장감 때문에 정서적으로 침체된 사람들은 쉽게 피로를 호소한다. 또 수면 시간이 길어져도 깊은 잠에 들지 못하기 때문에 기상 시 개운함을 느끼지 못한다.

춘곤증은 대개 3주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강한 증상을 동반하지도 않는다. 증가한 활동량과 변화한 주변 환경에 몸과 마음이 적응하게 되면 춘곤증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저절로 사라진다.

피로회복제나 고카페인 음료를 복용하는 것은 춘곤증 극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박훈기 한양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피로회복제는 급성 피로를 풀어 줄 목적의 포도당, 비타민, 각성제 등이 함유돼 있는데, 이는 피로를 잠깐 완화해주는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갑자기 평소보다 많은 양의 카페인을 섭취하면 각성효과가 밤까지 지속돼, 제때 잠들지 못하게 된다'며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이튿날 낮까지 피로가 누적된다'고 설명했다.

건강한 춘곤증 극복법으로 운동,규칙적 수면,식단조절 등이 강조된다. 박 교수는 '평소에 운동량이 적었던 사람은 천천히 걷는 운동부터 시작해 1주 간격으로 걷는 속도,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매일 같은 시간에 잠들고 기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수면 부족을 느낀다면, 점심시간 휴게실에서 잠시 낮잠을 자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그는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해 비타민을 보충한다면 나른함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고단백,저탄수화물 식단이 피로 감소에 효과적이다'라고 조언했다.

castleowner@kukinews.com

쿠키뉴스 한성주 castleowner@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