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사설] 15년만에 적발된 수능 부정, 시험 감독 체계 재점검하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지난해 대입 수험생들이 수학능력시험일인 11월 14일 서울 이화여자외고 내 고사장에서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대입 수학능력시험에서 현역 병사가 선임병 부탁을 받고 대리시험을 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유명 사립대 재학 중 공군에 입대한 병사가 선임병의 요구로 서울의 한 수험장에서 대신 시험을 봤다고 한다. 수험장에서는 이런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넘어 갔다. 지난 2월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신문고에 관련 내용이 접수되지 않았더라면 묻혀 지나갈 뻔한 일이었다.

수능 대리시험이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2004년 수능에서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부정시험이 드러나 사회문제가 됐다. 당시는 특정 과목을 잘 하는 수험생이 수험장에서 해당 과목 정답을 휴대전화로 외부에 알려주고 그 답을 다른 응시자들에게 전파하는 조직적 부정행위로, 200여명의 성적이 무효 처리됐다. 그 과정에서 일부 대리시험 사례도 적발돼 이후 수능 감시감독이 강화됐지만 실제 대리시험이 재확인된 것은 15년 만이다.

이번 사건은 수험장 감시감독이 느슨해진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수능 시험장에는 2, 3명의 감독관이 배치되고 교시마다 교체된다. 시험 당사자나 대리시험자 모두 군인이어서 인상착의가 비슷해 감독이 쉽지 않았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런 염려 때문에라도 본인 여부 대조를 좀 더 세심하게 했어야 했다.

지난해 ‘조국 사태’ 이후 입시 공정성에 대한 사회 민감도가 매우 높아졌다. 정부는 이런 여론을 감안해 수능 위주의 정시 비율을 확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올해 입시가 어떻게 치러질지 불안감도 높다. 이번처럼 본인 대조가 부실해 발생한 단순 부정행위는 빙산의 일각일지 모른다. 첨단기기를 이용한 새로운 유형의 시험 부정이 생겨날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수능 감시감독 태세에 허점이 없는지 교육 당국이 매년 새로운 자세로 점검해야 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