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위클리M&A]코로나19도 비켜간 코엔텍 인수전…흥행 이어갈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엔텍 예비입찰서 복수 원매자 '관심'

폐기물 처리분야 잠재력에 후한 점수

높은 진입장벽…시장 안정성도 '장점'

매립지 용량 한계치 도달 주요 변수로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폐기물 처리업체 코엔텍 인수전 초반 열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흥행 우려에도 코엔텍에 눈독을 들이는 업체들의 관심이 적지 않음을 확인했기 때문인데요. 국내외 대형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은 물론 국내 건설사들도 속속 참전 의사를 밝히며 초반부터 열기가 달아오르는 모습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코엔텍 예비입찰 결과 호반건설과 태영건설의 환경 부문 중간지주사인 TSK코퍼레이션 등 건설사들과 MBK파트너스, 한앤컴퍼니,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등 대형 PEF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매각 대상은 맥쿼리코리아 오퍼튜니티즈운용(맥쿼리PE)가 보유한 코엔텍 지분 59%와 새한환경 지분 100%입니다. 매각 주관사인 JP모건은 코엔텍 밸류에이션(기업가치)을 6000억~7000억 정도로 잡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매각 측은 예비입찰 회사들에 대한 검토를 거쳐 이르면 다음 주에 숏리스트(적격예비인수후보)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코엔텍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일반·지정폐기물을 다루는 업체로 소각과 매립, 폐열 재판매까지 가능한 시스템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코엔텍의 하루 평균 매립처리량은 344톤, 소각처리량은 488톤 수준으로 SKC와 SK에너지, 롯데케미칼, 현대자동차 등이 주요 고객사 입니다.

적지 않은 원매자들이 코엔텍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폐기물처리분야에 대한 잠재력을 높게 평가해서입니다. 폐기물 처리시설 인프라 확장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처리해야 할 폐기물량은 앞으로 계속 늘 것이라는 전망에 몸값이 높아지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폐기물 산업이 경기 불황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점과 주민반발로 신규 폐기물 매립지 허가가 어려워지면서 기존 대형 업체들의 시장지배력이 확대될 것이라는 점도 매력 요소입니다.

실제로 코엔텍의 1톤당 소각 단가는 2013년 11만5000원에서 지난해 16만5000원으로 6년 새 43%나 급증했습니다. 같은 기간 1톤당 매립단가는 5만5000원에서 18만6000원으로 2.3배나 늘었습니다. 폐기물 처리 수요 증가와 폐기물처리 인프라의 제한적 증설을 고려하면 앞으로 가격은 더 올라갈 가능성이 큽니다.
이데일리

올해 새롭게 바뀔 폐기물 산업 경향도 눈여겨볼 요소입니다. 지난해 10월 3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다음 달 27일 시행을 앞둔 폐기물 관리법 개정안은 배출자의 책임을 강화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위탁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업체로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는 건데요.

서혜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폐기물 업체는 높은 이익률과 안정적인 현금흐름으로 재무 안정성이 기타 산업 대비 매우 높다”며 “국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펀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폐기물 업체는 대표적인 환경 관련 업종으로 꼽히면서 새로운 수익원 확보에 도움을 줄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일각에서는 달아오른 초반 열기와 달리 본입찰에서는 다른 양상을 띨 것이라는 견해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앞서 2018년 맥쿼리 PE가 WIK그린 등 5개의 폐기물 업체를 묶어 파는 ‘패키지 딜’을 시도했는데 원매자들과 가격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며 1년 가까이 지연되다 WIK그린과 나머지 4개 업체(WIK중부, WIK환경, WIK경기, 용신환경개발)을 각각 750억원, 820억원에 쪼개 팔며 한숨을 돌린 사례가 있습니다.

여파가 적다고는 하지만 코로나19로 산업 전반이 주춤한 상황에서 매각 측이 원하는 거래가 성사될지도 변수입니다. 폐기물 시설 증설 제한은 지배력 강화라는 장점도 있지만 반대로 사업 확장에 대한 매력도 떨어지는 게 사실입니다. 애초 더 많은 기업이 예비입찰에 참여하려다 발을 뺀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입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폐기물 업체는 결국 매립량 조절이 중요한데 이 부분이 원하는 만큼 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차후 매각 협상을 진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될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