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국민 100명 중 1명, '코로나19' 검사받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월 중 국내서 백신개발 임상시험 시작될 듯”

세계일보

지난 6일 대구시 북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진행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은 사람이 51만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00명당 한명 꼴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셈이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가 의심될 경우 적극적으로 진단검사를 시행해달라고 당부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은 11일 이날까지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은 사람이 총 51만479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체 인구 5184만3195명(3월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의 0.98%에 해당한다.

진단검사를 한 이들 중 1만480명이 코로나19확진 판정을 받았다. 1만4070명은 검사가 진행중이다. 48만5929명은 음성으로 확인됐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검사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이날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환자가 감소할수록 사실 조용한 전파는 더 찾아내기가 어렵고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각 의료기관에는 코로나19가 의심되면 적극적으로 진단검사를 시행해달라”고 당부했다. 권 부본부장은 아울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퍼진 ‘진단검사 축소설’에 대해 코로나19 대응 지침(가이드라인)을 개정하면서 조사 대상 유증상자의 예를 제시한 것이 오해를 부른 것으로 이해한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최근 한 전문의가 자신의 SNS 계정에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는 글을 올렸고, 이 글은 총선 정국과 맞물려 퍼져 나갔다.

권 부본부장은 “조사 대상 환자의 지침이 6판까지는 ‘의사의 소견에 따라 의심증상을 토대로 신고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의 예를 든다는 차원에서 ‘원인미상 폐렴 등‘(이라고 명시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15일 개정된 코로나19 대응 지침 7-3판은 조사 대상 유증상자를 “의사의 소견에 따라 원인 미상 폐렴 등 코로나19가 의심되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조사 대상을 “의사 소견에 따라 코로나19가 의심되는 자‘로 규정했던 6판과 비교해보면 이 문구에 ‘원인 미상 폐렴 등‘이라는 구절이 추가됐다. 방역당국은 폐렴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권 부본부장은 “어느 것이라도 환자를 보는 의사가 판단해 코로나19가 조금이라도 의심된다면 바로 의심환자라는 게 지침 내용”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달 중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이 국내에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권 부본부장은 “외국에서 유명 개발자가 진행하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임상시험에 우리나라가 조만간 참여할 기회가 있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협의가 공식화되면 별도의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코로나19환자도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방식의 협력이냐는 질문에 “현재까지는 그런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면서 “4월 안으로는 임상시험이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그는 “백신은 긴 개발 여정의 출발 선상에 있고, 개발되더라도 대량 생산과 접종이 가능할지, 부작용은 없을지 등을 검토해야 하는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며 “당국은 상황을 빨리 정리해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