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안개 속 방위비 협상…”트럼프, 韓 개선 요구도 ‘불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방위비 전용 금지 등 요구에 불만”

韓 “협정 이행” 요구에 美 뒤늦게 지키기도

타결 시한 놓치며 국회 비준도 지연 전망

헤럴드경제

주한미군의 방위비 분담액을 설정하는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이 협정 기한 4개월을 넘기고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용산 미군기지 입구의 모습.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올해 주한미군의 방위비 분담액을 설정하는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협상이 4개월 넘게 지체되는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측의 협정 개선 요구안에 대해 강한 불만을 나타내 최종 타결에 반대했다는 언급이 나왔다. 정부는 지난 협정 합의 사안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상황에서 국회 비준을 이유로 협정 개선을 요구하고 있지만, 한미 간 이견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는 데다가 제21대 국회가 새로 구성되며 협정 최종 타결까지는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17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방위비 협상팀이 잠정 합의한 협정 내용에 대해 분담금 총액 인상안뿐만 아니라 한국 측이 요구한 제도 개선안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며 협정 타결에 반대했다.

협상 과정에 밝은 한 미국 측 외교 소식통은 “한국 측이 협상 과정에서 제시했던 일부 요구안에 대해 미국 측 협상단이 상당수 수용의 뜻을 밝혔다”며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측에 불리한 개정 내용이라는 이유로 강한 불만을 나타낸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 협상대사를 수석대표로 하는 우리 측 협상팀은 지난 10차 협정 비준 과정에서 국회가 제시한 6개 부대의견을 바탕으로 제도 개선안을 미국 측에 요구했다. 요구안에는 방위비 분담 항목에 작진 지원 등 추가 항목을 신설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과 주둔 비용 전액 부담 금지, 미집행 군수지원 분담금 환수, 특수정보 시설에 비(非)한국업체 사용 금지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지난해 분담액(1조389억원)의 5배가 넘은 50억 달러를 요구했던 미국 측 협상팀은 장기간 협상 끝에 13% 수준의 인상안에 동의하며 제도 개선 요구안에도 상당 부분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국회가 10차 협정 부대의견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11차 협정의 비준을 해주지 않을 것이란 입장을 협상팀이 미국 측에 전달했다”며 “미국 측 역시 이에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협상 과정에서 10차 협정 합의 내용이 이행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협상팀을 통해 전달됐고, 미국 측은 군사 당국을 통해 군사건설 5개년 계획안을 협정 타결 8개월 만인 지난해 12월에야 뒤늦게 한국에 전달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외교 소식통은 “지난 협정 합의 내용 중 지켜지지 않은 내용에 대해 국회 차원의 불만 제기가 있었고, 여러 채널을 통해 불만이 전달돼 미국 측 역시 이에 대해 신경 쓰는 모습을 보였다”며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측의 제도개선 요구에 대해 당시에도 불만의 뜻을 나타냈었다고 전해 들었다”고 했다.

한미 양국은 협상팀 차원에서 분담 총액을 비롯한 상당수 이견을 좁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타결안에 반대 의사를 밝힌 데다가 국회에서도 새로운 원 구성 이후에 비준을 진행할 수 있어 실제 협정 타결까지는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핵심 관계자는 “당장 타결이 이뤄지기는 힘들다는 내용을 전달받았다”며 “시기를 놓치면서 한국인 근로자의 무급휴직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했다.

osy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