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텔레그램 n번방 사건

꼿꼿한 조주빈, 고개숙인 강훈…n번방 그들의 정반대 태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n번방 사건의 주범인 '박사' 조주빈(왼쪽)과 공범 '부따' 강훈.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주빈(25·텔레그램 대화명 박사)과 강훈(18·대화명 부따). 그들의 태도는 서로 정반대였다.

신상정보가 공개된 피의자로서 대중에게 처음 모습을 드러냈을 때의 이야기다. 이 두 명은 텔레그램 성 착취 단체대화방 ‘박사방’ 사건의 공범 관계로 의심받는다.



조주빈, 평온 표정에 감상적



조주빈은 “뻔뻔하다”는 비판을 받을 만큼 돌발 행동을 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지난달 25일 서울종로경찰서 로비의 포토라인에 서서 “멈출 수 없었던 악마의 삶을 멈춰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고 말했다. 성 착취 피해자에게 사과를 할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나온 발언이라 화제가 됐다.

목 보호대를 한 영향도 있었지만, 얼굴을 꼿꼿이 들고 평온한 표정을 한 점 역시 여론을 들끓게 했다. 현장에 있던 한 시민단체 회원은 “(성 착취) 피해자한테 사과할 생각은 없습니까”라고 소리를 치기도 했다.

당시 조주빈을 두고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과대망상을 하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자신에 대한 큰 관심을 다른 곳으로 분산시키려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 내부에서의 평판도 좋지 않다. “허세가 많다” “과시욕이 크다” 등이다.

조주빈은 또 조사 도중 머리를 찧는 자해를 시도해 경찰이 한때 혼란을 겪었다. 조주빈은 자신이 사용하던 휴대전화 잠금장치도 풀지 않는 등 수사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



강훈은 내내 “죄송하다”



반면 '부따' 강훈은 17일 종로경찰서를 나서며 다른 모습을 보였다. 고개를 푹 숙인 채 “죄송하다”는 말을 반복했다.

변호사의 코치를 받은 ‘악어의 눈물’ 전략이거나 심리적 압박감을 못 이기고 내뱉은 빈말일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조주빈 때처럼 “뻔뻔하다”는 평가와는 다르다. 공정식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조주빈은 사전에 치밀하게 인터뷰 할 내용을 준비해왔다면, 강훈은 그런 준비 없이 현재 처해 있는 상황과 앞으로의 불안감 때문에 굉장히 큰 위축감을 느낀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이런 모습 때문인지 강훈이 호송차에 올라탈 때까지 그에게 호통 치는 시민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경찰 일각에선 강훈의 신상공개를 주저하는 내부 여론도 있다. 한 경찰 관계자는 "범죄의 무거움을 고려해 신상정보를 공개했지만 '강훈이 미성년자고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점 등을 고려하면 개인적으로는 안타까운 감정도 든다'는 말도 나온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14일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민중당원들이 텔성 착취 범죄자들에 대한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성년자 신상공개 반대론도



경찰 밖에서도 “미성년자 피의자의 신상정보를 공개하는 건 지나치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강훈은 처음으로 신상정보가 공개되는 미성년자 피의자다.

조주빈은 주범이지만, 강훈은 조주빈의 부하 격으로 중량감이 떨어진다는 정황도 이 같은 반대론의 근거가 됐다. 이에 강훈의 변호인(강철구 변호사)은 16일 “재판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상정보 공개를 멈춰달라”는 신청을 서울행정법원에 냈다. 하지만 이 신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범죄자 나이 고려 말아야”



여성단체 등에선 “강훈에 대해 조금이라도 우호적인 시선을 주면 안 된다”는 목소리가 크다. 시민단체 ‘N번방 성 착취 강력처벌 촉구시위’ 관계자는 “지금 언론에서 범죄자(강훈)의 나이와 상황 등을 많이 주목하는데, 그러한 서사를 부여하는 건 옳지 않다”며 “강력한 처벌을 내리는 데 방해될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민중·이가람 기자 kim.minjoong1@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