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북미 ‘김정은 친서’ 진위논란…“트럼프 가벼운 언행 해프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친서 과시 하루도 안 돼 트럼프 면박

北외무성 대외보도실장 담화 내 부인

“북미 수뇌 관계, 여담 삼아선 안 돼”

전문가 “북미냉각?…헤프닝으로 끝날 것”

코로나 책임론 속 자기 ‘과장’ 가능성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좋은 편지(nice note)를 받았다”고 밝힌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하루도 안 돼 정면 반박하면서 진위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의 친서를 두고 난데없이 진실 공방이 빚어진 것이다.

20일 외교 및 대북 전문가들은 김정은 위원장 명의의 친서 진위를 둘러싼 북미 간 공방전에 대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정치적 수세에 몰린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업적 과시를 위한 특유의 ‘과장’ 발언으로 보인다”며 “하나의 해프닝으로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측의 이번 대응에 북미관계가 더욱 냉각될 것이란 일각의 우려와 달리,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과장 화법으로 빚어진 해프닝으로 일단락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데일리

왼쪽부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양무진 북한 대학원 대학교 교수는 “이번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 진위 논란은 트럼프 대통령의 절제되지 않는 가벼운 언행이 주요 요인”이라며 “북한이 곧장 사실 관계를 바로 잡겠다고 나선 것은 북한체제 특성상 최고지도자의 친서를 정치적으로 이용 말라는 경고의 메시지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이어 “외무성 보도국 대외보도실장이 낸 이번 담화를 보면 실무에서 짚고 넘어가는 수준으로 수위조절을 한 것”이라면서 “‘지난 시기 오고 간 친서들에 대해 회고한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언급한 만큼 경고는 하되, 더 이상의 확산은 바라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진단했다.

그동안 북미 정상이 보여준 모습들을 감안하면 이번 해프닝은 신념에 찬 트럼프 대통령의 ‘기억 오류’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그는 중요한 외교 사안에 대해 잘못된 내용을 여러 차례 말해 외교적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특히 최고지도자의 일거수일투족에 대한 북측의 보도·발표 양상을 고려할 때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 명의의 친서를 보내놓고 공개적으로 ‘보낸 적 없다’고 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한 외교 소식통도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에 친서를 받은 사실을 과장해 재차 설명하다가 빚어진 오해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면서 “북한의 주장에 더 설득력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 시간) 백악관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으로부터) 좋은 편지를 받았다”고 소개한 바 있다. 서한을 받은 시점이나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부연설명은 하지 않았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한국시간으로 18일 저녁 이뤄진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친서를 언급하며 “따뜻한 편지가 왔다”고 말했다고 전해 ‘김 위원장의 최근 친서’는 기정사실인 분위기였다.

그러나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의 브리핑 발언 이후 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최근 우리 최고지도부는 미국 대통령에게 그 어떤 편지도 보낸 것이 없다”는 반박 담화를 내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다만 북한은 “사실무근한 내용을 언론에 흘리고 있는 미국지도부의 기도를 집중 분석해볼 계획”이라며 “조미(북미) 수뇌들 사이의 관계는 결코 아무 때나 여담 삼아 꺼내는 이야기거리가 아니며 더욱이 이기적인 목적에 이용되면 안 될 것”이라고 대화 여지를 남기며 공을 다시 미국 측으로 넘겼다.

한편 올해 들어 북미 두 정상은 서신 왕래를 통해 ‘친서 외교’를 펼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김 위원장의 생일(1월 8일)에 축하 및 코로나19 방역 지원 친서를 보냈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지난달 22일 담화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를 보낸 사실을 공개했다. 이에 북미 간 대화가 곧 재개되는 것 아니냐는 예상도 나왔었지만, 북한이 무반응으로 일관하면서 북미 관계는 교착 상태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