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동아일보는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는 주한미군 감축 방안을 담은 4가지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이를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첫 번째 안은 '주한미군을 현재 규모로 유지한 상태에서 협상을 계속한다'이고 나머지 3가지 방안은 주한미군을 규모별로 감축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
미국이 SMA 협상과 관련해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하반기에도 트럼프 대통령과 마크 에스퍼 미 국방부 장관과 마크 밀리 합참의장 등은 관련 질문에 "논의해 볼 수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한미 협상단은 지난 3월 말 분담금 13% 인상, 5년 계약에 잠정 합의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연간 총액을 문제 삼아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말 재선을 위한 외교성과가 필요한 트럼프 대통령이 더 높은 금액을 부르며 재협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미국에서 주한미군 철수와 관련한 언급이 공식적으로 나올 경우 한국에서도 비슷한 의견에 힘을 얻을 수 있다. 한미 합동군사연습 중단, 주한미군 철수 등을 주장하는 시민단체는 과거부터 있어왔으며 SMA 협상 지연에 맞춰 더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당장 주한미군 규모를 줄일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한미동맹을 유지하며 북한으로부터의 위협을 방어할 필요성은 SMA 협상과 관계없이 유지되는데다 세계최대 규모의 캠프 험프리스 기지가 평택에 지어진 지도 만 3년이 지나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한 관계자는 동아일보에 "주한미군 감축 이야기는 지금까지도 수십 번 나왔지만 실제로 시행된 적은 없지 않았느냐"며 "실제 감축을 원하는 사람은 워싱턴에서 찾기 힘들다"고 말했다. 주한미군을 유지하면서 SMA 협상을 계속한다는 시나리오가 유력한 셈이다.
현재 주한미군 규모는 2만8500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주한미군 규모를 현행보다 줄이는 데 예산을 편성하지 못하게 하는 조항을 포함한 2020년 국방수권법에 서명했다. 병력 감축을 위해서는 감축이 미국의 안보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을 국방부 장관이 의회에서 설명해야 한다.
heogo@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