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원내대표 이모저모

경제법안 좌우 슈퍼여당 원내대표… ‘친문·초선 표심’ 잡아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與 내달 7일 원내대표 경선… 후보군만 7~8명 ‘풍년’

친문이 당락 좌우… 비문 원내대표로 균형 가능성도

코로나19 발등 불붙은 경제계 “경제활성화 법안 서둘러야”

이데일리

21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첫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는 조정식(왼쪽부터)·김태년·노웅래·전해철 의원(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180석을 거느린 더불어민주당의 원내 전략을 진두지휘할 원내대표 자리를 향한 물밑 각축전이 시작했다. 여당이 독자적으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상정 및 처리도 가능한 의석을 확보한 만큼 강력한 입법 권력을 손에 쥘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팬데믹 여파로 인한 글로벌 경제 위기가 엄습한 만큼 각종 규제에 발이 묶인 경제계에서도 관심있게 보고 있다.

◇친문이냐 비문이냐… 與 원내사령탑 경선 촉각

거대여당의 원내사령탑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정치 체급을 불릴 절호의 기회다. 민주당은 내달 7일 21대 국회 첫 원내대표를 뽑는 경선을 치를 예정인데 7~8명 정도의 후보가 경선레이스에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지도부가 사실상 궤멸한 제1야당과 달리 여당의 원내대표 후보군은 풍년이다. 4·15총선에서 대승을 거두며 불출마자 외에 대부분의 중진 의원들이 생환한 덕이다. 3선 이상의 다선 의원이 원내대표 후보군으로 거론되는데 민주당내 3선 의원만 24명, 4선도 11명이다.

민주당 최대 계파인 ‘친문’(친문재인) 그룹에서는 당 사무총장으로 4·15총선을 성공적으로 치른 윤호중 의원(4선)과 지난 원내대표 경선에서 고배를 마셨던 김태년 의원(4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이라 불리는 전해철 의원(3선)이 출마 전선에 섰다.

비문(비문재인) 그룹에서는 5선에 안착한 조정식 정책위의장이 도전장을 낼 것으로 알려졌다. 이해찬 대표 체제에서 민주당 정책위의장으로서 정책통 역할을 했던 만큼 경제위기 상황 속 입법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언론인 출신인 노웅래 의원(4선), 안규백 의원(4선) 그리고 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을 맡았던 윤관석 의원(3선)과 ‘타다금지법’을 발의했던 박홍근 의원(3선)도 이름이 오르내린다.

정치권에서는 친문 표심이 당락을 결정할 것으로 본다. 문재인 청와대 출신 인사들이 대거 당선된데다 총선 승리의 원인 중 하나가 높은 대통령 지지율 덕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다. 하지만 친문 후보들이 난립한다면 표가 갈리거나 당이 특정 계파에 쏠린다는 인식 탓에 비문 인사로 무게추가 옮길 가능성도 있다. 또 지역구 당선자 중 40%인 68명이 초선 의원인 만큼 이들의 표심이 어디로 흐를지도 관심사다.

◇다가오는 글로벌 경제쇼크… “경제활성입법 서둘러야”

경제계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위기가 예고돼 발등에 불이 떨어진 만큼 경제 활성화 대책에 무게를 실어줄 여당 원내대표를 바라고 있다. 첫 원내대표는 국회의장단 구성 및 각 상임위원장 배분권 등 원구성에 대한 야당과의 협상도 책임지기 때문이다. 누가 위원장을 맡느냐에 따라 법안 처리 여부 및 속도가 달라진다.

특히 계류 중인 탄력 근로제 단위 기간을 6개월로 연장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 최저임금법, 서비스산업 발전기본법 등의 처리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매출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 19일 공개한데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8.1%는 21대 국회의 우선 추진 과제로 ‘경제활성화 대책 마련’을 꼽았다. 이어 일자리 창출 지원제도 강화(31.1%)와 기업 투자 촉진을 위한 규제 완화(29.1%), 노동시장 유연화 방안 마련(15.8%),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세제개선(10.7%), 4차 산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 마련(9.2%)도 시급하다고 봤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