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건강 놓고 美 언론 보도 잇따라
"정상 생활 못하고 있다" "건강 이상 증거 없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1일(현지 시각) 폭스뉴스는 국방 정보 관련 당국자를 인용해 “미국 정부가 김 위원장의 유고 상황에 대비해 광범위한 계획이 있으며, 이는 김 위원장의 사망 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감안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당국자는 김 위원장 사망 시 북한에 대규모 인도적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인도적 위기의 내용은 수백만명의 북한 주민이 기아에 내몰리고 중국으로의 대규모 탈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폭스뉴스는 중국이 나서서 북한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대응하는 것도 시나리오에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와 블룸버그통신, 뉴욕포스트 등은 김 위원장 사망 시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권력승계를 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하기도 했다. 김 1부부장은 지난 11일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중용됐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의 건강 악화로 인한 권력 승계를 위한 사전 조치가 아니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NBC 방송은 “미 당국자들은 김 위원장이 심장 수술 뒤 정상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복수의 미 당국자들을 인용해 김 위원장이 최근 심혈관 수술을 받아 며칠 동안 공개 석상에 나서지 않았다는 점을 미 정보기관 보고서가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앞서 대북전문매체 데일리NK가 지난 20일 “김 위원장이 최근 심혈관계 시술을 받았고, 회복 단계에 들어서서도 지방의 특각(별장)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고 보도한 것과 같은 맥락의 설명이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전날 이 사안에 대해 직접적인 정보를 갖고 있다는 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김 위원장이 수술 뒤 심각한 위험(grave danger)에 놓여 있다는 정보를 미국 정부가 입수했고, 미 정보당국은 이를 주시하고 있다”고 보도한 CNN방송은 한 발 물러서는 태도를 보였다. CNN은 미 국방 당국자를 인용해 “미군의 평가는 현재 시점의 증거가 김 위원장이 정상생활을 할 수 없게 됐음을 시사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앞서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김 위원장의 상태가 어떤지 모르고, 그것이 어떻게 돼가는지를 봐야 하기 때문에 그것에 관해 이야기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옥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