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 남편을 잔혹하게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 은닉함 혐의로 1심에서 무기징역을 받은 고유정(37)에 대한 첫 항소심 재판이 열렸다. 검찰은 이날 항소 이유를 설명하면서 1심 재판 결과를 작심 비판했다.
22일 광주고법 제주재판부 형사1부(왕정옥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고씨의 항소심 첫 공판에서 검찰과 변호인은 원심에서 무죄로 판결한 의붓아들(홍모(5)군) 살해 혐의를 놓고 치열한 법정 공방을 펼쳤다.
1심에 이어 사건을 맡은 이환우 검사는 1심의 의붓아들건 무죄에 대해 “재판부의 고충은 이해하지만 대단히 비논리적인 승복할 수 없는 판결”이라며 “원심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의의 기계적 압착 소견 증언 취지를 왜곡한 측면이 있어, 의붓아들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며 무기징역 선고에 그쳤다”며 2심 재판부의 검토를 요구했다.
실제 부검의나 국과수 등 관련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홍군의 사인을 ‘기계적 압착에 의한 질식사’로 추정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1심 재판부는 ‘피해 아동이 아버지의 다리나 몸통에 눌려 사망했을 가능성 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는 막연한 가능성을 들면서 중요한 핵심증거를 배척했다”고 비판했다.
검찰은 또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이태원 살인사건’을 언급하며 원심 판결의 부당함을 재차 강조했다. 이 검사는 “의붓아들 살인사건의 ‘스모킹건’(결정적 증거)은 피해아동의 질식사 사인”이라며 “이태원 살인사건처럼 제3자의 가능성이 없다면 당시 현장에 있던 사람의 진술의 신빙성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검찰은 “재판부가 피고인이 전남편 1명만을 살해했다고 보고 양형 기준을 ‘극단적 인명경시 살인’이 아닌 ‘비난동기 살인’ 유형으로 낮춰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며 “극단적 인명경시 살인이 단순히 산술적 기준으로 갈린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누구라도 그것(사형)이 정당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사형을 선고할 수 있다”며 “도대체 얼마나 더 참혹하게 살해해야 사형이 선고되는 것이냐. 항소심 재판부는 유족의 간절한 외침을 들어달라”고 호소했다.
고씨의 국선 변호인은 의견서를 제출해 향후 공판기일에서 다퉈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항소심 2차 공판은 5월 20일 오후 2시에 열린다. 검찰은 의학전문가 3명, 마약전문가 1명,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1명 등 5명의 증인을 요청했다.
한편 고유정은 지난해 5월 25일 오후 8시 10분부터 9시 50분 사이 제주시 조천읍의 한 펜션에서 전남편 강모(37)씨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뒤 시신을 훼손하고 버린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이후 전남편 살해에 이어 의붓아들 살해 정황까지 드러나 의붓아들인 홍모군 살해 혐의로 추가 기소됐다.
1심 재판부는 지난 2월 20일 고유정에 대해 무기징역을 선고했으며, 검찰은 1심 선고 이후 전남편 살해 사건에 대해 양형부당을, 의붓아들 살해 사건에 대해서는 사실오인 및 법리오해를 이유로 항소했다. 고유정 역시 사실오인과 법리오해, 양형부당 등을 이유로 항소했다. /조예리기자 sharp@sedaily.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