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안산 고잔신도시가 앞마당…쾌적한 생활권 갖춘 ‘송산 킨슬리 오피스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 지하철 4호선 고잔역, 중앙역, 한양대역 10분 이용…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백화점 인근 위치

송산그린시티 개발호재와 테마파크 효과를 톡톡히 누리면서도 안산 고잔신도시 생활권까지 한번에 누릴 수 있는 송산 킨슬리 오피스텔이 분양한다.

안산 고잔신도시 10분 내 진입이 가능한 송산 킨슬리 오피스텔은 화성시 송산그린시티 상업용지 (새솔동)에 들어선다. 지하 4층~지상 10층으로 오피스텔은 160세대로 구성됐으며 근린생활시설은 16실이며 주차대수 또한 123대가 가능하다. 또한. 송산킨슬리 오피스텔과 마주한 수노을중앙공원 지하주차장은 332대 주차 가능하다.

첨단 시스템을 도입해 생활의 편의성을 더했다. 전기, 수도, 가스 등을 별도의 관리인 방문 없이 원격 검침할 수 있으며 차량출입 또한 차량출입번호 인식을 통해 출입을 통제하도록 했다. 공동 현관 및 건물에 무인경비 CCTV 방범시스템을 설치했으며 복층형 오피스텔이 추위에 다소 약하다고 알려져 있는 것을 보완해 고단열 시스템으로 열 손실 보호 및 결로를 예방토록 했다. 또 내진 설계 및 층간 소음방지 시설을 갖췄으며 복층 창호시설로 소음차단 및 결로를 예방토록 했다.

송산에서 보기 드문 전세대 복층형 오피스텔이며 층고 또한 4m로 높혀 개방감을 더했다. 천장 높이 등의 층고를 높여 침실 등의 공간으로 이용하는 복층형 오피스텔은 특유의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개방감, 공간 활용성 때문에 오피스텔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복층형 오피스텔은 공간활용도를 높인 것이 강점이다. 공간을 별도로 나눌 수 없는 오피스텔에서 층고를 높힘으로써 오피스텔의 공간 활용도를 높혀 침실이나 서재, 작업실 등 독립된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반월, 시화산단, 시화MTV 등 약 2만 여개의 입주업체 및 대학교가 인근에 있어 임대수요를 확보하고 있다.

송산 킨슬리 오피스텔이 들어서는 이 지역은 수도권 제2순환 고속도로를 통해 남북부 물류 핵심인프라 구축지역으로 꼽히는 지역이다.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 고속도로)가 수도권 주택개발에 동력이 됐다면, 제2순환고속도로는 경기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산업축으로 역할이 전망된다.

10조원 가까운 돈이 투입되는 수도권 제2순환 고속도로는 서울외곽순환 고속도로를 더 큰 원모양으로 돌아가는 도로다. 김포∼파주∼양주∼포천∼남양주∼양평∼이천∼안성∼평택∼오산∼화성∼안산∼인천∼김포 등 261.5㎞를 잇는다.

이 지역은 서울 30km, 인천 20km, 인천공항 30km 등 지하철, 철도, 고속도로를 통해 서울 및 수도권 주요도시로 빠르게 연결되며 2026년 안산, 시흥에서 여의도를 잇는 신안산선 전철이 확정되면서 교통요충지로 거듭나고 있다.

중앙공원과 수변공원을 조망할 수 있으며 개발호재를 가득 품은 지역이기도 하다. 신세계에서 4조5700억원을 투자하는 국제테카파크가 인근에 있다. 세계에서 6번째 아시아 최대 테마파크로 개발되는 송산그린시티에는 각종 테마파크와 워터파크, 리조트호텔, 상업시설, 골프장, 아파트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오는 2026년 1차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1년 완전개장 예장이어서 기대를 받고 있으며 오픈 시 연간 관광객은 1900만명 예상되며 일자리 또한 1만50000명 창출이 예상된다.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백화점, AK안산(예정), 지하철 4호선, 수인선전철, 신안산선 등 광역 생활권이 가능하며 안산과 이어지는 송산교, 시화교, 평택-시흥고속도로 및 77번 국도, 영동/서해안고속 서해선(송산역 예정), 신안산선(서울역~안산), 소사 원시선(인천~수원) 등 광역 교통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

인근 도보 통학거리에 송린초, 중, 고교, 한양대에리카, 신안산대, 안산대학교, 서울예대, 동산고, 명휘원, 최용신기념관, 단원김홍도예술관, 어촌마을체험마을 등 교육 및 문화시설을 누릴 수 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