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김병기 “태영호, 김정은 정보 있다면 국정원·통일부 없애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소정 기자] 국가정보원 고위 간부 출신인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또 한 번 태영호 미래통합당 서울 강남구갑 당선인을 저격했다.

이데일리

(왼쪽부터) 태영호 강남갑 미래통합당 당선인, 김병기 민주당 의원 (사진=태 당선인, 김 의원 페이스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의원은 28일 밤 자신의 페이스북에 “오늘 20대 이후 대부분의 생을 안보 라인에서 보냈던 제가 20대 이후 대한민국을 증오하고 험담하는데 대부분의 생을 보냈을 분한테 한 소리 들었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태 당선자는 제가 쓴 글 ‘그분이 무슨 정보가 있을 수가 있어요. 있으면 스파이지요’를 ‘정보 있으면 스파이다. 알면 얼마나 안다고 운운하며’라고 해석했다”라며 “이어서 북한 문제는 ‘사실을 토대로 한 냉철한 분석과 전망, 다양한 의견에 대한 존중이 필수적’이라고도 제법 그럴듯한 말을 하면서 제 글을 정치적 공격이라고 했다”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본질을 흐리는 교묘한 선동, 사실에 거짓을 살짝 끼워 넣어 감성을 자극하는 선전술’ 제가 쓴 문장에 ‘알면 얼마나 안다고’로 해석할 수 있는 글이 있나. 저는 태 당선자가 북한 출신이지 북한 정세 전문가는 아닌 것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기에 궁금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태 당선인을 향해 “‘사실을 토대로 한 냉철한 분석과 전망’하며 운운한 것에 대해서는 한 가지 묻겠다. 정부기관이 갖고 있지 않은 김정은 신변에 관한 의 미있는 정보가 있냐. 만약 있으면 연락 달라. 어떻게 획득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일생을 정보기관에 근무했던 사람으로서 제 발언에 대해 정중하게 사과드리겠다. 스파이 여부와 상관없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고 나서 저는 국정원과 통일부, 군·경의 북한정보파트 예산을 전액 삭감할 것”이라며 “태 당선자 한 명보다 못한 능력이라면, 그리고 태 당선자가 그 첩보를 어디에서 획득했는지 알지도 못하는 조직은 없애버리고 태 당선자께 그 예산을 다 드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정치 운운했는데 제 글이 정치와 무슨 관련이 있냐. 제가 이전에 올린 글에서 강조한 것은 판단을 하는데 있어 ‘전제’와 ‘출처’의 중요성이다”라며 “ 제가 태 당선자에게 요구하는 것은 태 당선자의 상상이나 의혹이 아니라 출처 즉 증빙할 수 있어야 한다. 정부가 확보한 출처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출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내가 태 당선자를 믿지 않는 것은 정치 때문이 아니라 근거도 없이 혼란을 가중시키는 언행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선출직은 국민들에 의해 선택되신 분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선출직에 진출하려면 혹독한 검증을 받는다”라며 “태 당선자는 자신의 전 생애에 대해서 검증을 받았다고 생각하냐. 그렇지 않다고 생각되시면 이제 정치를 하게 되는 입장에서 특히 몇 년 전까지 우리의 적을 위해 헌신했던 사실을 잊지 마시고 더욱 겸손하고 언행에 신중하면 어떠겠냐. 저는 태 당선자의 과거에 대해 아는 것보다 궁금한 것이 많다”라고 말했다.

전날 김 의원은 태 당선인에 대해 “그분이 무슨 정보가 있을 수 있나. 있으면 스파이”이라고 말했다.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이상설과 관련, 태 당선인이 “북한의 반응이 이례적”이라고 말한 것을 반박한 것.

28일 태 당선인은 페이스북에 “저는 북한 내부 사정에 대한 견해와 분석을 통해 최대한 국익에 도움이 되고자 다양한 질문에 성심성의껏 답변드렸다”라며 “그런데 ‘정보 있으면 스파이이다’ ‘알면 얼마나 안다고’ 운운하며 저를 비방하는 일부 정치인과 관련자의 행태를 접하면서, ‘이런 것이 정치인가’라는 씁쓸한 생각을 지울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저는 김정은 신변문제를 비롯한 북한 문제에 대해 얼마든지 다양한 견해와 분석이 오가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이것이 왜 정치적으로 공격의 빌미가 되고, 편 가르기에 이용되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북한 문제는 우리 사회의 첨예한 이념적 이슈가 될 수밖에 없지만 그럴수록 사실을 토대로 한 냉철한 분석과 전망, 다양한 의견에 대한 존중이 필수적일 것”이라고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