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용산역 정비창에 아파트 8000세대…서울 도심에 `미니 신도시` 생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중심부인 용산역 정비창 부지를 개발해 8000세대의 아파트를 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서울 한복판에 미니 신도시 하나가 들어서는 셈이다.

국토교통부는 6일 발표한 수도권 주택 공급대책을 통해 서울 도심 유휴부지 18곳을 개발해 주택 1만5446세대를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중 눈에 띄는 곳은 한국철도(코레일)가 보유한 용산역 정비창 부지다. 정비창 부지는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불렸던 2012년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지에 포함됐지만 본사업이 좌초하면서 오히려 시행사와 코레일간 법적 분쟁의 대상이 됐다.

지난해 코레일이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좌초의 책임을 묻는 지루한 소송전에서 이기면서 정비창 부지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이곳에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주택 8000세대가 공급된다. 일부 오피스텔을 제외하면 대부분 아파트로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아직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8000세대 중 5000세대는 분양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정부가 지난 2018년 말 발표한 경기도 과천 택지에서 나오는 주택이 7000세대라는 점에서 과천 택지보다 큰 미니 신도시가 서울 한복판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용산 정비창 도시개발사업은 내년 말 구역 지정을 끝내고 2023년 말 사업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코레일이 보유한 다른 부지는 서울역 북부역세권(516세대)과 오류동역(360세대), 오류동 기숙사(210세대) 등이다. 국공유지 중에서는 서울 중구청사 부지(500세대)와 흑석동 유수지(210세대), 영등포 해군복지단(110세대) 등이 발굴됐다.

방이2동·창신1동 주민센터, 구로 노동자복지관 등 낡은 공공시설을 재건축하면서 공공주택을 얹는 공공시설 복합화 사업을 통해서도 주택이 100∼200세대씩 보급된다.

대치동 코원에너지(149세대)와 역삼동 스포월드(185세대)는 사유지인데, 소유자가 용도지역 변경 등 혜택을 보는 대신 공공시설과 공공주택 등을 지어 기부채납한다.

국토부가 이미 올해 초 개발 계획을 발표한 영등포 쪽방촌 정비사업지(1190세대)도 서울 도심 유휴부지 18곳에 포함됐다.

국토부는 한국철도 소유 부지와 국유지 등 3개 부지는 개발계획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개하지 많았다. 이 3개 부지에서는 주택 2000세대가 나올 예정이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