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신도시 사전청약제 부활…내년 수도권 3기신도시 조기 분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내년 3기 신도시와 주요 공공택지에 대해 사전 청약제를 도입해 조기 분양에 나선다. 주택 공급 불안으로 비싼 서울 집만에 달려들지 말고 입지 좋은 3기 신도시 신축 아파트를 청약받으라는 정부의 메시지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6일 '수도권 주택 공급대책'을 통해 수도권 30만세대 공급 사업을 사전 청약제로 공급에 나선다는 방침을 밝혔다.

본청약 1∼2년 전에 일부 물량에 대해 앞당겨 청약을 진행하는 사전청약제는 당첨자가 본청약까지 자격을 유지하면 100% 당첨되는 식이다.

정부는 앞서 보금자리 주택지구에 대해 사전청약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당시에는 토지보상 전 단계에서 사전청약에 들어가는 바람에 본청약까지 3~5년 걸려 논란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토지보상을 끝내 1~2년 뒤 본청약을 할 수 있는 택지에서 사전청약을 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측은 "정확한 분양가는 본청약 때 확정되지만 1~2년 차이밖에 나지 않아 가격 차가 크지 않다"며 "내년 사전청약 물량은 약 9000세대이며, 구체적인 입지는 사업추진 상황 등을 고려해 내년 상반기 중에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수도권 30만세대 공급 계획도 신속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 4만세대 중 4000세대는 사업승인을 완료했으며 올해 중 1만6000세대의 지구지정을 끝낼 계획이다.

수도권 30만세대 중 21만세대는 지구지정을 완료했으며, 부천 대장, 수원 당수2 등 4만세대는 올해 상반기 중 지구 지정 예정이다.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과천 등 도시 기본구상이 수립된 곳은 연내 지구계획 마련과 토지보상을 동시에 추진한다.

국토부는 수도권 30만세대 계획지 중에서 입지가 우수하고 사업 속도가 빠른 곳은 내년 말부터 입주자 모집에 착수할 방침이다.

2022년까지 입주자를 모집하는 주택은 7만세대이며 이후에는 ▲2023년 6만7000세대 ▲2024년 5만8000세대 ▲2025년 6만1000세대 ▲2026년 이후 4만4000세대 등이 예정됐다.

이 외에 정부가 주거복지로드맵과 기존 택지 계획 등을 통해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공급하는 전체 주택은 총 77만세대에 달한다. 이중 절반 이상인 44만세대(57.7%)의 입주자는 2023년까지 모집할 예정이다.

연도별로는 올해 10만1000세대, 내년 11만6000세대, 2022년 11만세대 등 연평균 11만세대 수준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주택공급 대책으로 2022년까지 서울에서 주택 7만세대를 공급하는 부지를 추가 확보해 2023년 이후 수도권에서 연평균 25만세대 이상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