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용산역 정비창에 아파트 8천가구…서울 도심의 '미니 신도시'(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천가구 공공주택으로, 4천가구는 민간 매각…2023년 사업승인

업무·상업시설도 조성…사실상 국제업무지구 개발 재개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서울 중심부인 용산역 정비창 부지를 개발해 8천가구의 아파트를 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서울 한복판에 미니 신도시 하나가 들어서는 셈이다.

국토교통부는 6일 발표한 수도권 주택 공급대책을 통해 서울 도심 유휴부지 18곳을 개발해 주택 1만5천446가구를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중에 눈에 띄는 것이 한국철도(코레일)가 보유한 용산역 정비창 부지다.

정비창 부지는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불렸던 2012년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지에 포함됐으나 본사업이 좌초하면서 오히려 시행사와 코레일간 법적 분쟁의 대상이 됐다.

연합뉴스

용산역 정비창 부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작년 코레일이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좌초의 책임을 묻는 지루한 소송전에서 이기면서 정비창 부지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되살아난 터였다.

이곳에서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주택 8천가구가 공급된다. 일부 오피스텔을 제외하면 대부분 아파트로 구성될 전망이다.

정부가 2018년 말 발표한 경기도 과천 택지에서 나오는 주택이 7천가구라는 점에서 과천 택지보다 큰 미니 신도시가 서울 한복판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아직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8천가구 중 5천∼6천가구는 공공·민간 분양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박선호 국토부 1차관은 "주택 8천호 가운데 절반은 공공주택, 나머지 절반은 민간에 매각해 분양가 상한제 주택으로 공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도심의 미니 신도시, 용산역 정비창에 아파트 8천가구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국토교통부가 6일 수도권 주택 공급대책을 통해 서울 도심 유휴부지 18곳을 개발해 주택 1만5천446가구를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사진은 8천가구의 아파트를 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서울 중심부인 용산역 정비창 부지. 2020.5.6



이와 함께 당초 국제업무지구로 계획할 당시 넣으려 했던 오피스·호텔·쇼핑몰 등 상업·업무 시설과 마이스(MICE, 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등 국제 전시시설도 들어온다.

다만 주거비율이 늘면서 이들 상업·업무 등 도시 경쟁력을 강화할 만한 시설은 종전보다 줄게 됐다.

공공주택 4천가구도 청년주택, 신혼부부주택, 행복주택(공공임대) 등 공적 기능이 높은 중소형 주택이 다수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10만호 공급 공약을 발표하면서 대표적인 사업부지로 용산 정비창을 꼽았다.

용산 정비창 도시개발사업은 내년 말 구역 지정을 마치고 2023년 말 사업승인에 들어갈 예정이다.

코레일이 보유한 다른 부지는 서울역 북부역세권(516가구)과 오류동역(360가구), 오류동 기숙사(210가구) 등이 있다.

연합뉴스

용산역 철도정비창 부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공유지 중에서는 서울 중구청사 부지(500가구)와 흑석동 유수지(210가구), 영등포 해군복지단(110가구) 등이 발굴됐다.

방이2동·창신1동 주민센터, 구로 노동자복지관 등 낡은 공공시설을 재건축하면서 공공주택을 얹는 공공시설 복합화 사업을 통해서도 주택이 100∼200가구씩 보급된다.

대치동 코원에너지(149가구)와 역삼동 스포월드(185가구)는 사유지인데, 소유자가 용도지역 변경 등 혜택을 보는 대신 공공시설과 공공주택 등을 지어 기부채납한다.

국토부가 이미 올해 초 개발 계획을 발표한 영등포 쪽방촌 정비사업지(1천190가구)도 서울 도심 유휴부지 18곳에 포함됐다.

국토부는 한국철도 소유 부지와 국유지 등 3개 부지는 개발계획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다. 이 3개 부지에선 주택 2천가구가 나올 예정이다.

연합뉴스


banan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