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미니 신도시 변모 앞둔 '용산 정비창'···'得'될까 '失'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소형 위주...부촌이미지 타격"

"정부 주도 빠른 개발, 호재될 것"

효과놓고 엇갈린 전망 쏟아져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수도권 공급 방안 가운데 하나로 서울 용산 정비창 부지에 아파트 8,000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를 두고 득인지 독인지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 카페에는 저렴한 가격에 대규모 공공분양이 쏟아지면서 일대 집값 하락이 불가피하리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용산 부촌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반대로 멈춰서 있던 개발이 이뤄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호재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가 지난 6일 발표한 용산 정비창 부지 개발계획을 보면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주택 8,000가구를 공급한다. 일부 오피스텔을 제외하면 대부분 아파트로 구성될 전망이다. 아직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8,000가구 중 5,000가구는 분양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나머지는 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독이 될 것이라는 주장에는 이번 정부 개발 계획이 과거 옛 국제업무지구와 비교와 비교해 보면 초라하다는 점이다. 용산 정비창 부지(51만㎡·약 15만4,000평)는 과거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에 포함됐던 곳으로, 서부이촌동 일대까지 묶어 56만6,800㎡(약 17만평)의 땅에 5,000여 가구 최고급 주택을 조성할 예정이었다. 3,000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하겠다고 한 지난 2012년 옛 국제업무지구 개발계획안과 비교하면 주택 수가 2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아울러 분양주택 대부분도 용산 부촌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은 중소형 평형으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결정에 용산 시민들은 ‘아쉽다’는 반응이다. 공급 가구 수 증가에 따라 오피스·호텔·쇼핑몰·마이스(MICE) 시설 등 업무·상업 용도 활용 비율은 60~70% 수준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실제 부동산 카페에는 용산이 임대주택 촌이 된다는 지적이 다수 나오고 있다.

반대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집값 자극에 대한 우려로 미뤄지던 용산 개발을 정부가 직접 언급한 만큼 주변 개발이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전망이다. 용산 정비창 부지 개발 자체가 부동산 시장에 호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번 개발계획 발표로 용산 일대 개발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용산구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기존 개발안보다 축소됐지만 그간 놀던 용산역 부지가 개발된다는 것은 분명 일대에 호재”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정비창 개발을 필두로 용산 통 개발을 다시 추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이번 공급 방안으로 서울 및 수도권 집값을 잡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견도 갈린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이번 공급 방안에 대해 “정부가 서울 아파트 공급 필요성을 인지한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직주근접 등으로 인해 인기 있는 지역인 용산구에 8,000가구 공급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투자·실수요 모두 용산에 주목하면서 일대 집값이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안명숙 우리은행 투자자문센터 부장은 “단기적으로는 개발 기대감에 인근 집값이 올라갈 수도 있다”면서도 “함께 언급된 공공주도 재개발 등 어떤 방식으로라도 정부가 양질의 공급을 이어간다면 장기적으로는 집값이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권혁준기자 awlkwon@sedaily.com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