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미니신도시' 용산 가격급등 조짐…정부 '토지거래허가구역' 만지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8000가구 공급 계획 발표 이후 매수심리 집중

서울 도심 접근성 양호하고 주거환경도 좋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해 투기 사전에 예방

아시아경제

국토교통부가 지난 6일 미니신도시급인 8000가구 공급 계획을 발표한 서울 용산역 철도 정비창 부지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정부가 '8000가구 공급' 계획을 밝힌 이후 집값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는 서울 용산 철도 정비창 부지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1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6일 수도권 주택 공급대책 발표 직후 매수심리가 집중되고 있는 용산 정비창 부지 인근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해 검토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주거·상업·공업 등 용도별로 일정 면적을 초과하는 토지를 취득할 때 사전에 시·군·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취득 목적도 엄격히 제한된다. 주택은 실거주자, 상가는 자영업자 등 실수요자에게만 취득이 허용된다. 일정 기간 허가받은 목적대로 해당 토지를 이용해야 하는 제약도 있다.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검토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용산 인근 아파트 단지에서 매수 문의가 급격히 늘어나고, 매물은 회수되는 등 집값 상승 조짐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6일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을 통해 용산 정비창 부지에 8000가구의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과천 3기 신도시가 7000여가구에 달하기 때문에 정부 계획대로 공급이 된다면 사실상 서울 한복판에 '미니 신도시'가 들어서는 셈이다.


8000가구 중 민간 분양 4000가구와 공공분양 1500가구를 더한 5500가구 정도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추산된다. 일각에선 공공임대 주택 비중이 과도하게 높다는 부정적인 인식도 있었지만, 투기 열기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 용산 정비창 부지의 경우 서울 도심 접근성이 좋고 주거 환경도 양호해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정부는 과거에도 집값 안정을 위해 투기가 예상되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투기를 사전에 예방해왔다. 2018년과 지난해에도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경기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지역 등을 2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용산 정비창을 비롯한 개발 예정지에 합동 투기단속반을 투입할 계획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