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전두환과 노태우

“청남대 전두환 동상 철거하라”…“절차 거쳐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회 충북도청서 “역사의 죄인 기념 사업안돼”

이시종 충북지사와 면담, 충북도 “절차 거쳐 철거 검토”


한겨레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회가 13일 충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청남대 안에 설치된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동상 등의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옛 대통령 휴양지 청남대에 조성된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동상 등 기념물 철거를 요구했다. 청남대를 관리하는 충북도는 절차를 거쳐 철거를 검토하기로 했다.

충북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등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 10여곳이 꾸린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회는 13일 충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군사반란을 일으킨 역사의 죄인이다. 청남대에 설치한 두 대통령의 동상을 철거하고, 대통령 길을 폐지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청남대가 역대 대통령 별장이고, 그들의 흔적이 있다고 해도 군사반란을 일으킨 역사의 죄인을 미화하는 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청남대를 혁신·보완해서 국민 관광지,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강성환 청남대관리사업소장은 “청남대는 역대 대통령들이 머문 대통령 휴양지였다가 국민에게 개방된 곳이다. 역대 대통령의 동상·기념관·테마길 등이 조성돼 있지만 개인을 미화하거나 기념하려는 뜻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담은 공간”이라고 밝혔다.

한겨레

전두환 전 대통령 동상. 청남대관리사업소 제공


한겨레

노태우 전 대통령 동상. 청남대관리사업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회 회원 등은 이날 오후 4시께 이시종 충북지사를 찾아 철거를 요구했다. 정지성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회 공동대표는 “5·18 광주 민중항쟁의 학살 주범인 전두환씨는 대통령 호칭을 쓸 수조차 없는 사람인데 동상 등을 세워 기념화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5·18민주화운동기념일 전에 모두 철거하라”고 요구했다. 충북도는 “이 지사가 ‘동상 조성 당시 위원회를 열어 여러 의견을 수렴한 끝에 전 전 대통령도 다른 대통령과 함께 설치해야 한다는 뜻에 따랐다. 5월18일까지 여러분의 뜻이 전달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을 5·18기념사업회 쪽에 건넸다”고 전했다.

한겨레

이시종 충북지사와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회 회원 등이 13일 충북도청에서 청남대 안 전두환 전 대통령 동상 철거 관련 면담을 하고 있다.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 대표는 “면담 과정에서 이 지사가 철거를 약속했다. 만일 철거하지 않으면 5·18 민주 유공자 유족회 등 전국의 5·18 단체와 함께 청남대 동상 철거를 위한 연대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한겨레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3년 4월18일 청남대에서 청남대 개방에 환호하는 시민들에게 손을 흔들며 답하고 있다. 충북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남대는 1983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지시로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대청호변 184만㎡에 조성됐으며, 이후 노태우·김영삼·김대중 대통령 등 역대 대통령 휴양지로 쓰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3년 4월17일 하루만 이곳에 묵고 다음 날 국민에게 청남대를 개방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13년 1월15일 ‘이명박 대통령길’ 개장 때 이곳을 찾았으며, 이때까지 역대 대통령 6명이 모두 89차례 찾아 366박 472일을 머물렀다.

청남대는 개방 뒤 관리권이 충북도로 이관됐으며, 이후 대통령 기념관 등이 조성됐다. 대통령 기념관 앞에는 이승만, 윤보선, 최규하,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동상이 세워졌다. 청남대를 다녀간 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 동상은 대통령 이름을 딴 테마 길 앞에 설치됐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뉴스판 한겨레21 구독▶5.18 40돌 ‘다섯개의 이야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