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전두환과 노태우

'5·18 40주년' 청남대 전두환·노태우 동상 뜯어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충북도 "징역 산 전직 대통령 예우는 법 위반…철거키로"

기록화 철거·대통령길 이름 폐지 1∼2개월 뒤 이뤄질 듯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5·18 광주 민주화운동 40주년을 앞두고 청주 소재 옛 대통령 별장인 청남대 안의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흔적 지우기가 시작됐다.

연합뉴스

청남대에 설치된 역대 대통령 동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시종 충북지사는 14일 오후 시민·여성 등 도내 시민단체 관계자 회의를 거쳐 청남대에 설치된 두 전직 대통령의 동상을 철거하기로 기본입장을 정했다.

전직 대통령의 이름을 딴 산책로 가운데 '전두환대통령길'과 '노태우대통령길'의 명칭도 폐지되며, 대통령기념관에 설치된 두 사람의 기록화 역시 철거된다.

청와대 본관 모습을 60% 크기로 본뜬 대통령기념관은 2015년 6월 준공됐다.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된 전직 대통령은 경호 및 경비를 제외한 다른 예우를 받지 못한다.

전 전 대통령은 내란 및 내란 목적 살인죄로 무기징역을 확정받았다. 노 전 대통령 역시 징역 17년을 선고받았다.

회의 참석자들은 "청남대가 무기징역과 징역 17년을 선고받은 두 전직 대통령을 예우하는 것은 위법의 소지가 있다"는 의견을 함께했다.

연합뉴스

동상 철거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연합뉴스 자료사진]



'충북 5·18민중항쟁기념사업위원회'는 "청남대 내에 설치된 전두환·노태우의 동상을 철거하고 그들의 이름을 딴 대통령길을 폐지하라"고 촉구해 왔다.

이 단체는 5·18 40주년인 이달 18일 이전에 동상을 철거해 달라는 입장을 충북도에 전달하기도 했다.

도 관계자는 "단순히 동상만 철거하는 게 아니라 기록화는 물론 관련 자료도 폐기해야 하는 만큼 철거 작업은 한두 달 뒤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쪽의 청와대'라는 뜻의 청남대는 제5공화국 시절인 1983년 건설됐다.

당시 전 전 대통령이 대청댐 준공식에 참석해 "이런 곳에 별장 하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이 계기가 됐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후 청남대는 역대 대통령의 여름 휴가 장소로 이용되다가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의해 일반에 개방돼 관리권이 충북도로 넘어왔다.

충북도는 청남대에 역대 대통령의 동상·유품·사진·역사 기록화 등을 전시하고 있다.

전직 대통령이 방문 때 애용한 산책길의 사연을 담아 전두환(1.5㎞)·노태우(2㎞)·김영삼(1㎞)·김대중(2.5㎞)·노무현(1㎞)·이명박(3.1㎞) 대통령 길을 조성했다.

k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