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2 (일)

강원도, 플라이강원 국제선 취항지원 TF 운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형준 기자(=춘천)(jhj2529@pressian.com)]
강원도는 양양국제공항을 모기지로 하는 플라이강원이 중국 베이징 등 국제선 14개 도시와 국내선 제주 포함 15개 도시 취항을 위한 정기 운수권 및 슬롯이 주 80회 확보됨에 따라 코로나19 종식 이후 인바운드 전담 항공사로 조기 정착 될 것이라고 19일 밝혔다.

정기 운수권은 3개 도시 주 14회 운항으로 1일 2회 확보됐다.

프레시안

ⓒ플라이강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2개 도시 주 7회(베이징 4회, 창춘 3회), 필리핀 마닐라 주 7회 운항한다.

항공자유화지역으로 11개 도시 공항 슬롯(주 52회)도 확보했다.

주 7회 운항은 4개 도시(타이베이, 클라크필드, 하노이, 홍콩), 주 4회 운항은 3개 도시(호치민, 가오슝, 후쿠오카), 주 3회 운항은 4개 도시(다낭, 타이중, 오사카, 나리타)다.

제주노선은 주 14회 운항 (1일 2회)한다.

플라이강원은 그동안 코로나19 이후 정상적인 노선 운영을 위한 운수권 및 슬롯 확보에 올인한 결과 중국 베이징과 동북3성 중심도시인 창춘 항공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다.

강원도는 플라이강원이 국내 9개항공사 중 유일한 인바운드 전담 항공사로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항공자유화 지역을 중심으로 추가 노선개발과 슬롯 확보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추가 정기운항 슬롯은 중국, 일본, 필리핀, 태국, 마카오 등을 확보했으며 중국은 산둥성(칭다오, 웨이하이, 옌타이, 지난 등), 하이난성(하이커우, 싼야 등) 등을 정기운항한다.

취항시기는 운수권과 슬롯이 확보된 국가의 코로나19 진정상황 및 여행 제한이 해소 되는대로 운항을 시작할 수 있도록 운항허가, 현지 모객조직 구성, 해외 마케팅 등 필요한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기 운항노선 7월 복항은 타이베이, 클라크필드를 운항할 예정이며 7월 신규취항은 하노이, 호치민, 다낭을 예정하고 있다.

나머지 도시는 4.5호기 항공기 도입시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취항한다.

플라이강원은 항공과 관광을 융합한 컨버전스 사업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신개념 TCC항공사로 타 항공사와 차별화 전략을 추진한다.

일반적인 항공운송업이 여객 또는 화물을 수송하면서 발생하는 ‘운송 수입’의 범주에서 매출이 발생한다면 플라이강원은 내부 여행 사업부문을 특화해 강원도로 유입되는 외국 관광객이 소비하는 각종 관광수입(컨버전스 수입)을 유발시켜 수익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특히 외국 관광객을 유치해 강원도 내 체류 관광상품과 연계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고,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경제와 강원도 관광활성화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플라이강원은 정기 운수권과 슬롯확보에 따라 강원도의 우수한 문화관광 자원을 글로벌관광자원화하고 외국인 관광객 집중유치 및 도내체류 통한 지역경제․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며 지난 2002년 4월 3일 개항이후 저성장 상태인 양양국제공항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도는 동남아 주요 거점도시 취항 여건 조성으로 정부의 신동방 정책 지원 등을 기대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플라이강원 이미지 쇄신과 신규 투자를 견인하는 기폭제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강원도 관계자는 “플라이강원 국제선 정기 운수권과 슬롯 확보에 따른 취항준비가 원활히 진행될수 있도록 중국, 일본, 베트남 현지 강원도본부와 취항준비 상황 공유를 통한 행정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외국인 관광객들이 양양국제공항 도착부터 이동과 도내 체류에 따른 불편함이 없도록 교통, 관광, 쇼핑 등 지원을 위한 ‘플라이 강원 국제선 취항지원 TF팀’을 운영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플라이강원이 코로나19 같은 세계적인 대유행 등 천재지변이나 불가항력적인 상황에도 경영이 흔들리지 않도록 중장기적인 정책과 로드맵을 마련해 시행 하겠다”고 했다.

[전형준 기자(=춘천)(jhj2529@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