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1 (토)

“동남권 관문공항, 대통령 결단하라” 지역사회 여론 고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개 시민단체, 건설 촉구 기자회견

김해 신공항 백지화 여부 등 요청

상공인·당선인도 잇따라 한목소리

6월 김해 신공항 검증결과 나올 듯

중앙일보

19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부산 시민단체. 송봉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달 국무총리실이 김해 신공항 건설계획의 적정성 검증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을 요구하는 부산 지역사회 여론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부산 4개 시민단체는 19일 오전 부산시의회에서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의 결단을 요청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이 회견에는 동남권 관문공항 추진 부·울·경 범시민운동본부, 신공항추진 범시민운동본부, 김해 신공항 반대 범시민대책위, 24시간 안전한 신공항촉구 교수회의 등 4개 단체가 참여했다. 이들 단체는 “동남권 관문공항은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하고 부·울·경 단체장의 합의로 재추진되는 동남권 최대 사업”이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추진에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는 그러면서 총리실의 김해 신공항 검증의 신뢰성과 검증 이후의 결정 과정에 우려를 표했다. 검증 결과가 ‘인천공항 재난 시 대체 가능한 관문공항’이란 문 대통령의 공약과 부·울·경이 제시한 ‘24시간 운영 가능한 안전한 관문공항’ 요건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해 신공항을 기술적 문제로만 검증하지 말고 동남권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제대로 검증하라는 뜻이다.

이들 단체는 또 “검증 이후 김해 신공항 백지화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은 대통령의 몫”이라며 “김해 신공항 백지화 여부 결정과 이후 입지선정 같은 후속 절차가 제시될 수 있게 총리실과 관련 부처에 분명한 의사를 표명해야 한다”고 대통령에게 요청했다. 시민단체는 기자회견문을 전달하고 대통령 결단을 촉구하기 위해 대통령 면담을 공개 요청했다.

앞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단 6명은 지난 14일 정세균 국무총리를 만나 검증 중인 김해 신공항의 문제점과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 당위성 등을 설명했다. 회장단은 “김해 신공항 확장안을 기술적으로만 검증해 결론 내리는 것은 단연코 반대하며. 부산 민심을 파악해 대승적 차원에서 관문공항 건설에 결단을 내려달라”고 했다. 정 총리는 이에 “현재 검증과정에 있어 지금에 와서 다르게 하기는 쉽지 않다. 검증위원회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존중하되 내가 할 수 있는 범위에서 부산 경제계의 의견을 검증위에 전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12일에는 부·울·경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인 7명이 정 총리를 만나 “검증은 기술적 평가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며 정책적 판단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시간을 끌 문제는 아니니 조속히 검증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답했다. 김해 신공항 검증작업은 2019년 6월 총리실이 검증하기로 부·울·경 시·도지사와 국토교통부 장관이 합의하면서 시작됐다. 지난해 12월 분야별 전문가 21명으로 총리실 검증위원회가 출범하면서 검증 작업이 본격화했다. 검증위는 현 김해공항에 활주로 1개(3.2㎞)와 국제선 청사를 추가 건설해 2026년 개항하려는 김해 신공항 건설사업을 놓고 부·울·경이 제기한 안전·소음·환경·확장성 문제 등을 검증하고 있다. 검증 결과는 이르면 6월 나올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어떤 검증 결과가 나올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박동석 부산시 신공항추진본부장은 “그동안 관련 자료를 총리실 검증위에 충분히 전달하고 설명하는 등 김해 신공항 대신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로 정책을 전환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김해 신공항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