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검찰, ‘회계 부정 의혹’ 정의연 4시간째 압수수색…“자정 넘길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0일 오후 정의기억연대 부실회계·안성 쉼터 고가 매입 의혹과 관련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서울 마포구 정의기억연대 사무실 앞에 취재진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찰이 부실 회계 의혹 등이 제기된 ‘일본군성노예제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서울서부지검 형사4부(부장 최지석)는 20일 오후 서울 성산동에 위치한 정의연 사무실과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을 압수수색했다. 검사 2명에 수사관 10명이 나서 이날 오후 6시쯤 시작된 압수수색은 4시간 이상 이어지고 있다.

검찰 수사관들은 이날 오후 5시쯤 정의연 사무실 앞에 도착했다. 하지만 정의연 측이 ‘변호사 입회하에 압수수색을 받겠다’고 해 변호사가 도착한 오후 6시쯤 압수수색이 시작됐다.

현장에서 만난 한 검찰 관계자는 “정의연 측 변호사가 3~4명 정도 왔다”며 “(이렇게 많은 변호사가 입회하는 건) 처음 봤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확보할 회계자료 등이 워낙 많아 압수수색이 자정이 넘어서 끝날 것으로 보인다”며 “자료들을 포렌식(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압수수색 현장엔 이나영 이사장, 오성희 인권연대처장 등 정의연 관계자들도 자리했다. 윤미향 당선인(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 전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압수수색이 시작될 때쯤 정의연 관계자는 건물 밖으로 나와 “압수수색이 끝난 뒤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지만 약 3시간 후인 오후 9시쯤 “입장발표는 없을 것”이라고 말을 바꿨다.

중앙일보

20일 오후 정의기억연대 부실회계·안성 쉼터 고가 매입 의혹과 관련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서울 마포구 정의기억연대 사무실에서 취재진이 취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실 회계 등 정의연과 관련된 의혹은 지난 7일 처음 불거졌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92) 할머니가 “위안부 단체에 이용당했다” “기부금이 할머니들에게 쓰인 적이 없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이후 정대협과 정의연의 부실 회계 정황과 함께 윤 당선인이 후원금을 개인적으로 유용했다는 의혹도 연일 보도됐다.

국세청에 공시된 공익법인 결산서류에 따르면, 정의연이 지난 4년간 거둔 기부금은 49억7344만원이다. 하지만 피해자 지원사업으로 지출한 비용은 매년 2000만원에 불과했다. 또 윤 당선인이 개인 은행 계좌로 고(故) 김복동 할머니의 장례비 등 기부금을 받아온 사실도 드러났다.

이처럼 잇따라 제기되는 의혹에 사법시험준비생모임(사준모)·법치주의 바로 세우기 행동연대(법세련) 등 시민단체들은 정의연 관계자들과 윤 당선인을 회계 부정 및 후원금 횡령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지금까지 정의연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접수된 고발 건은 10건 이상이다.

특히 법세련은 “윤 당선인이 경기도 안성 쉼터를 고가에 사들인 뒤 헐값에 되팔아 단체에 손해를 끼쳤다”며 업무상 배임 혐의로 고발했다. 정의연은 지난 2012년 이 쉼터를 7억5000만원에 매입한 후 지난달 4억 2000만원에 매각했다.

앞서 정의연은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문성 부족으로 일부 오류가 있었다”면서도 “기부금을 고의로 유용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

의혹이 지속되자 윤 당선인은 지난 19일 이용수 할머니가 거주하고 있는 대구의 한 호텔을 찾아 무릎 꿇고 “죄송하다”며 용서를 구했다고 한다.

하지만 20일 이 할머니의 측근으로 알려진 A씨는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윤미향이 찾아와서 만났지만, 할머니가 용서한 건 아니다”라고 전했다. 이 할머니는 오는 25일 대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제기된 의혹에 대한 소회를 밝힐 예정이다.

이우림·김지아 기자 yi.woolim@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