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G7 회의 열자면서...백악관 "유럽발 입국금지 철회 글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6월 G7 정상회의 재추진 검토

뉴시스

[비아리츠=AP/뉴시스]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등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2019년 8월 25일(현지시간)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회의를 시작하기 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미국 백악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억제를 위해 취한 유럽발 여행객 입국금지 조치를 철회할 계획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백악관에 따르면 케일리 매커내니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유럽연합(EU)·영국에서 들어오는 여행객들의 미국 입국 재허용 시기에 관한 질문을 받고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아직은 일정이 잡히지 않았다"며 "대통령(도널드 트럼프)의 주된 관심사는 미국인들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의 여행 제한이 생명을 살렸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취소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다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트위터에 "이제 우리 나라가 위대한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어 같은 혹은 비슷한 날짜에 그 유명한 캠프데이비드에서 G7 일정을 다시 잡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다른 멤버들도 그들의 재기를 시작하고 있다. 모두에게 매우 좋은 신호다. 정상화!"라고 썼다.

캠프데이비드는 미국 워싱턴 D.C 인근에 위치한 대통령 전용별장이다. 올해 G7 의장국인 미국은 당초 오는 6월 10~12일 이곳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확산이 심해지자 지난 3월 화상회의 대체를 발표했다.

G7을 구성하는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 등은 코로나19 주요 피해국이기도 하다. 특히 미국 및 유럽의 회원국들은 발원지인 중국보다 훨씬 많은 사망자와 확진자를 냈다.

미국은 올초 중국, 이란발 여행객 입국 금지에 이어 3월 중순부터는 EU와 영국에서 들어오는 외국 국적자의 입국 역시 불허하고 있다.

한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은 여건이 허락한다면 G7 정상회의 참석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백악관 관계자는 회의가 개최될 경우 인력과 행사 규모를 최소화할 계획이라며, 회의 준비를 위해서라도 며칠 안에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AP가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