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격차를 줄이겠다'며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강행했는데 도리어 저소득층 살림살이가 궁핍해지는 역설이 코로나 이전부터 계속되고 있다. 하위 20%의 근로소득은 소주성 정책이 본격 추진된 2018년 이후 작년 4분기만 빼고 내리 감소했다. 2017년 4분기 월 68만원이던 하위 20%의 근로소득이 작년 4분기엔 45만원으로 33%나 급감했다. 반면 하위 20% 계층에서 정부 보조금 등을 포함한 이전(移轉)소득은 같은 기간 52만원에서 62만원으로 늘어났다. 잘못된 정책으로 저소득층 일자리를 없애 놓고 이를 국민 세금으로 메운 결과 일해서 번 돈보다 정부에서 받는 돈이 37%나 많은 기형적인 구조가 됐다. 저소득층의 근로 능력이 위축되고 이들이 세금 의존층으로 바뀌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여당은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 대통령직속 소주성특위 위원장은 "소주성으로 일자리가 확대되고 소득분배가 개선된 성과가 확인됐다"고 한다. 그 말을 한 지 며칠 만에 정반대 결과가 나왔다. 심지어 소득통계 작성 방식까지 바꿔버렸다. 통계가 마음에 안 든다는 이유로 통계청장을 갈아치우더니 새로 임명된 통계청장은 느닷없이 소득통계의 표본수, 응답 기간, 조사 기법 등을 변경해 과거 소득과 비교하는 것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어 버렸다. 잘못된 정책이 소득격차를 악화시키고 있는데 그 정책을 고칠 생각은 않고 통계를 조작하고 있다.
[알려왔습니다]
본지 2020년 5월 22일 자 '소득격차 악화하는데 '소주성' 안 고치고 통계 조작' 제하의 사설에 대해 통계청은 "통계 작성의 모든 과정은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으며, 가계동향조사 개편 추진계획도 사전에 '가계동향조사 통합작성방안'을 통해 예고(2018년 9월 18일)한 바 있다"고 알려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