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정의기억연대 부실회계·안성 쉼터 고가 매입 의혹과 관련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 중인 서울 마포구 정의기억연대 사무실에서 취재진이 취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할머니 매주 1회 목욕탕 가기’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서예·노래·그림 치유 활동’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정의기억연대 전신)가 2013년 8월 28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에 제출한 ‘지정기탁사업 배분신청서’에 담긴 안성 쉼터 사업 계획의 일부다. 이 신청서는 정대협의 안성 쉼터 매입과 개소식(11월)을 앞두고 작성됐다. 현대중공업으로부터 10억원을 받으면서 쉼터의 향후 5년간 계획을 밝힌 일종의 사업계획서였다.
하지만 실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쉼터에 거주하지 않았고 쉼터가 사실상 방치되면서 대부분 계획은 그야말로 ‘공염불’에 그쳤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2013년 8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에 제출한 '지정기탁사업 배분신청서'의 일부. 정대협은 이후 현대중공업이 모금회에 기탁한 10억원을 전달 받아 안성쉼터 사업을 진행했지만, 사업은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대중공업은 2012년 8월 지정 기부로 모금회에 10억원을 기탁했다. 정대협은 이 10억원을 모금회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이 신청서를 작성했다. 정대협은 신청서에 사업 서비스 대상을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8명’이라고 적시했다. 쉼터 목표에 대해선 ‘(할머니의) 몸에 대한 이해 및 피해 극복’ ‘노인 우울증 극복’, ‘살아있음에 대한 긍지와 보람’이라고 적었다.
정대협은 주요 사업으로 건강관리·치료 프로그램과 할머니들의 인권옹호 활동을 꼽았다. 그러면서 주치의를 조직해 정기적으로 할머니들을 방문·치료하고, 매주 1회 할머니들을 목욕탕에 모시겠다고 했다. 이외 서예·노래 등 치유 활동을 하면서 할머니들을 정대협 박물관 1일 명예관장으로 위촉하겠다는 내용도 담았다.
신청서에는 안성 쉼터 세부 사업 계획도 나열됐다. 정대협은 주택 매입비 7억5000만원, 취·등록세 3000만원, 추가 공사비 3500만원을 지출하겠다고 했다.
인테리어비는 3250만원이 책정됐다. 세부적으로 ▶가구와 수납장 각각 1000만원 ▶식탁 및 탁자 200만원 ▶책장 100만원 ▶싱크대 800만원 ▶야외테이블 150만원이다. 이외에도 비품비(총 2600만원)는 ▶주방기기 800만원 ▶침구 500만원 ▶블라인드 600만원 ▶의자 40개 200만원 등이고, 물품구입비(1780만원)는 ▶냉난방기 500만원 ▶소파 200만원 ▶빔프로젝터 200만원 ▶자동스크린 100만원 ▶의료기기 500만원 ▶TV 5대 250만원 등이다.
차량 구입비(12인승 스타렉스)를 4000만원 책정한 것도 눈에 띈다. 정의연이 앞서 언론에 설명한 개략적인 지출 항목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이다. 향후 5년 동안 이뤄질 각종 치유 프로그램 비용으론 4050만원을 책정했다.
정의연이 운영했던 경기도 안성의 위안부 피해자 쉼터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 전경. 이가람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래통합당은 정대협이 적시한 물품 가격이 실제 쓰인 금액과 일치하는지 따져야한다는 입장이다. 통합당 관계자는 “물품 가격이 부풀려 책정되는 등 주먹구구식 계획으로 보인다”며 “정작 할머니들이 쉼터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기부금만 낭비할 꼴이 됐다”고 비판했다.
앞서 정의기억연대는 안성 쉼터와 관련해 주택매입비 7억5000만원, 공사비 3475만원, 물품구입비 1436만원 등이 사용됐고, 남은 1억2000만원을 모금회에 반납했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지난달 이 쉼터를 4억 2000만원에 매각했다.
손국희 기자 9key@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