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그레이하운드'를 제작사 소니로부터 7000만달러(약 861억원)에 사들였다. 15년간 해당 영화를 애플TV로 스트리밍하는 라이선스를 사들인 것이다. 라이선스 판매에도 소니는 중국에서 이 영화를 배급할 권한을 계속 보유하게 된다. 톰 행크스의 영화가 극장 개봉없이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CNBC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셧다운으로 아버지의 날 주말인 6월 19일 개봉 예정이었던 미국 내 영화 개봉이 취소되면서 소니 측이 해당 영화가 개봉 일을 잡지 못할 것을 우려해왔다.
이처럼 최근 애플은 자사 스트리밍 서비스인 애플TV플러스(+)를 위해 영화와 TV 드라마 방영권을 최근 대규모로 사들이고 있다. 이는 지난해 11월 출범한 애플TV+에 대한 전략 전환이라고 블룸버그는 평가했다. 당초 애플은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강조할 계획이었으며 그에 따라 큰 인기를 얻었던 과거의 명작을 확보하는데 시큰둥했다.
그러나 애플은 성공적인 스트리밍 서비스는 영화, 드라마와 새로 제작하는 콘텐츠를 적절하게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제 인정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평가했다. 넷플릭스와 월트디즈니의 훌루, 디즈니+, 아마존닷컴의 프라임비디오 등 현재 스트리밍의 강자들이 모두 이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번 1분기 OTT 서비스 기업이 실적을 보면 더욱 극명하다. HBO를 보유한 미국 AT&T와 넷플릭스, 애플, 디즈니 등 콘텐츠 기업들이 그 주인공이다. 세계를 휩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여파가 영업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 가운데, OTT를 포함한 콘텐츠 사업의 흥망이 기업별 희비에 영향을 줬다.
업계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아직 사라지지 않았다며 2020년 전망과 예상 실적을 보수적으로 잡았다. 그럼에도 콘텐츠 및 기반 시설 구축과 가입자 유치에 적극 투자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
애플의 1분기 매출 가운데 애플 뮤직과 TV+, 아케이드 등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부문 매출은 16.6% 늘어난 133억4800만달러(16조3125억원)였다. 애플은 콘텐츠 정액 서비스 가입자가 5억1500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디즈니의 사업부별 실적 희비도 명확하게 엇갈렸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영업 중단 파고에 휘말린 테마파크 부문이 유독 부진했다. 반면 OTT 디즈니플러스를 가진 소비자직접판매·국제사업부는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100% 늘어난 41억2000만달러(5조367억원) 매출을 올렸다. 서비스 지역을 유럽, 인도 등으로 넓히면서 세계 가입자 수도 5450만명으로 늘렸다.
극장가도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았다. 최근 화제가 됐던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의 오프라인 극장 인수설이 대표적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심각한 부진 상태에 빠진 극장 산업은 파산을 우려할 정도로 저평가한 상태기에, 일각에서는 아마존이 오프라인 극장을 인수해 기존의 온라인 영상 서비스와 연계한 신개념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내놓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과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영화관 체인 중 하나인 AMC는 코로나19 확산세로 미국과 중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영업을 중지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극장 폐쇄가 여름까지 이어지면 AMC를 비롯한 다수의 영화관 사업자들이 파산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올 지경이다.
특히, 아마존의 AMC 인수설이 완전히 뜬 소문은 아니라는 의견도 나왔다. '아마존 프라임'이라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운영 중인 아마존이 지난 2018년에도 미국의 또 다른 영화관 체인인 랜드마크 시어터 인수전에 뛰어들기도 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극장 산업은 당분간 힘들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길제로 코로나19로 폐쇄된 극장이 다시 열리더라도 미국인의 70%는 집에서 온라인 대여를 통해 최신 영화를 보겠다는 의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극장에서 최신 영화를 보겠다는 응답자는 13%에 그쳤고, 나머지 17%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ticktock0326@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