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사설] 현대차 시총 제친 카카오, 산업지형 격변 치열할수록 좋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카오가 시가총액에서 현대차를 앞질렀다. 둘은 규모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다. 현대차 자산 총액은 234조7000억원으로 카카오(14조2000억원)의 16배가 넘고 매출은 35배, 영업이익은 17배가량 더 많다. 현재보다는 미래 가치에 가중치를 두는 것이 주식시장 본연의 특성이다. 카카오 같은 기업이 많아져야 한국 경제의 역동성이 살아난다.

코로나19는 산업과 부(富)의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 현상이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이후 이달 초까지 세계 500대 부자 재산이 10%가량 줄었지만 정보기술(IT)과 헬스 부문에선 부를 늘린 경우가 적지 않았다. 세계 1위 부자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1400억달러로 2위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와 격차를 340억달러까지 벌렸다. 비대면 경제 열풍에 힘입어 전자상거래 회사인 아마존 주가가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영상회의 플랫폼 '줌' 창업자 위안정의 재산은 몇 개월 새 2배 넘게 불어났다. 반면 대부분 제조업과 에너지 산업, 명품 산업은 매출과 이익 감소, 주가 폭락과 더불어 기존 재벌들의 재산 감소가 두드러졌다.

비즈니스 세계는 경쟁이 치열하고 변화도 빠르다. 드물게는 기술과 환경의 변화가 전면적·단절적 혁신을 강요하기도 한다. 석유화학, 정보통신, 모바일 산업 등의 출현이 다 그랬다. 코로나19는 신산업 출현을 넘어 전 산업에 새로운 문법을 요구하고 있다. 변화하는 조류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기업과 국가의 흥망이 갈린다. 창조적 혁신이 여기저기서 나와야 한다. 한국은 주식시장에선 인터넷과 바이오주가 각광받고 있지만 자산 기준 재계 서열은 전통 제조기업들이 상위권을 독식하고 있다. 미국에 비해 재계 세대교체가 매우 느리다. 그런 점에서 코로나19를 새로운 산업을 등장시키고 기존 산업의 체질을 바꾸는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건 기업의 몫이다. 기업이 변신할 수 있는 마당을 조성하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산업지형 격변이 치열할수록 한국 경제 미래가 밝아진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