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강전〉 ○·구쯔하오 9단 ●·양딩신 9단



중앙일보

장면4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면 ④=복잡 미묘한 접전이 이어지고 있다. 전모를 파악하기란 불가능하기에 큰 흐름만 본다. 우선 흑1로 모는 수가 선수여서 A로 끊기는 약점은 근근이 커버가 되었다. 그다음 3의 선수는 예정된 코스. 백이 6으로 받자 흑7로 뻗어 백이 모두 잡혔다. 그렇다면 백이 망한 걸까. 그게 아니라는데 이 전투의 난해함과 미묘함이 담겨있다.

박영훈 9단은 오히려 “흑에게 큰 실수가 있었다”고 말한다. 당혹스럽다. 바둑의 세계는 너무 아득하다.

중앙일보

참고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도=앞의 수순 중 백1의 축으로 잡는 수가 유혹적이긴 하지만 흑2로 귀를 잡혀 안된다. 하변보다 귀가 훨씬 크다는 것을 아는 것도 이곳 전투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중앙일보

AI의 지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의 지적=장면도를 살피면 뒤늦게 한 가닥 좋은 수가 떠오른다. 바로 흑1로 잇는 수. 백2에 3으로 잡는 것은 똑같지만 장면도와 집 차이가 크다. 박영훈 9단은 “서너집은 이득이다”고 한다. 이곳 전투의 치열함과는 동떨어진 극히 작은 디테일에 불과하지만 바로 이 점을 놓쳐 흑은 하변을 잡고도 AI로부터 ‘얻은 게 없다’는 판정을 받게 된다.

박치문 바둑 칼럼니스트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