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G7 정상회담

G7→G11 확대? 트럼프 “한국도 회의 참석했으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회의 확대 목적이 ‘중국 견제’인 것으로 알려져 부담 가중될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초 다음달로 예정돼 있던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하고 이때 한국도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눈길을 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가 한국의 성공적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처를 배우는 것보다는 국제적인 중국 포위망 결성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동맹국’ 미국과 ‘최대 교역국’ 중국 사이에 낀 한국 문재인정부의 고민이 더욱 깊어질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열린 미국의 첫 민간 유인우주선 ‘스페이스X’ 발사 현장을 방문한 뒤 백악관으로 돌아오는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한테 “현재의 G7 형식은 매우 구식의 국가 그룹”이라면서 “한국 외에 호주, 러시아, 인도도 초청하고 싶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참가국 확대를 위해 회의도 6월에서 9월로 미루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G7+4’ 형식이 되는데 일시적인 확대일 뿐인지, 아니면 장기적으로 G11로 확대할 계획이 있는 것인지는 아직 불분명해 보인다. 현재 최고의 선진국 클럽으로 불리는 G7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7개국을 멤버로 두고 있다.

이와 관련, 백악관 관계자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관해 논의하기 위해 다른 나라를 추가하고 싶어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도됐다. 즉, 한국의 성공적인 코로나19 대처를 세계 주요국에 소개할 기회를 주려는 게 아니라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국제적 포위망 형성이 G7 확대의 진짜 목표라는 것이다.

현재 주요20개국(G20) 회의 멤버일 뿐 G7과는 거리가 먼 한국의 G7 회의 참여가 확정된다면 그만큼 우리나라의 글로벌 위상이 높아졌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으로 해석된다.

세계일보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문제를 논의하고 싶다”며 G7 확대를 언급했다는 점이 관심사다.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인 동시에 중국과 깊은 경제적 관계를 맺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책임론을 둘러싼 공방, 홍콩보안법 제정 등으로 주요2개국(G2) 미·중 간 갈등이 증폭되는 와중에 중국 문제 논의를 위한 회의에 한국이 참여하는 건 중국을 중시하는 문재인정부한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장 중국은 한국의 사드(THH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해 아직도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며 언제든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 제한 등 보복 초지를 취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