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G7 정상 회의 의장으로, 다른 회원국의 큰 반대가 없으면 원하는 나라를 '옵서버'(의결권 없는 참여국)로 초청할 수 있다. 알리사 파라 백악관 전략공보국장은 초청 배경에 대해 "중국과 관련된 미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전통적 동맹국들을 불러 모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감염증과 홍콩보안법 문제 등으로 미·중 관계가 최악인 가운데 동맹인 한국·호주와 중국에 인접한 인도·러시아 등을 한자리에 모으겠다는 것이다.
'선진국 클럽'인 G7 정상 회의에 초청받는 것은 통상 환영할 일이지만, 대중(對中) 압박에 동참하라는 요구를 받게 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런 트럼프의 발언에 대해 "앞으로 미국 측과 협의해 나갈 문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사전에 통보받지 않았다"고 했다. 트럼프 특유의 사전 조율 없는 '즉흥 제안'이었다는 뜻이다. 반면 호주 정부 대변인은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미국 정부 사이에 이번 초청 건과 관련한 사전 접촉이 있었다"며 한국 정부와 다른 반응을 보였다.
선진국 간 복잡한 관계가 그대로 노출되는 회의가 될 가능성도 있다. "G7이 시대에 뒤처졌다"는 트럼프의 발언부터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6월 10일쯤 화상회의로 열릴 예정이었던 G7 정상 회의를 6월 말로 옮겨, 미 대통령 전용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대면 회의로 개최하고 싶어했다. G7 정상이 미국에 모이는 모습을 보여주면, 미국이 코로나를 극복하고 경제를 재개하고 있다는 좋은 신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르켈 총리는 이날 대변인을 통해 "전반적 전염병 유행 상황을 고려할 때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G10 또는 G11"로 부르며, "(11월) 대선 후에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등을 정식 '회원국'으로 추가해 G7을 G10이나 G11으로 개편할 뜻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옵서버 초청과 달리, G7 체제 자체의 개편에는 다른 기존 회원국들의 명확한 동의가 필요하다.
☞G7(Group of Seven)
[김진명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