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오늘의 외교 소식

외교부, 도미타 주한 일본대사 초치…日, '역사 왜곡' 산업유산정보센터 일반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태호 2차관, 도미타 대사에 강한 유감 표명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 약속 이행 촉구할 듯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외교부가 일제 강제징용 역사를 왜곡하는 내용을 담은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 개관과 관련해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강력하게 항의했다.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은 15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로 도미타 고지 주한일본대사를 초치했다. 이 차관은 이번에 일반에 공개한 산업유산정보센터에 왜곡된 강제징용 역사가 포함된 것에 강한 유감을 표할 예정이다.


일본은 지난 2015년 하시마(군함도) 등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 7곳을 포함해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 23곳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국인을 강제로 노역하게 했다는 사실을 공개하는 등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이행하지 않았다.


실제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일반에 공개한 일본 정부가 도교토 신주쿠구에 위치한 총무성 2청사 별관에 마련한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과거 약속한 내용이 담기지 않았다. 되레 강제징용을 부정하는 증언을 담은 동영상을 공개했다. 이 센터는 지난 3월31일 개관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공개가 미뤄졌었다.


앞서 우리 정부는 약속 이행을 전제로 유네스코 등재를 지지했다. 하지만 이날 일반에 공개된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사토 구니 당시 주유네스코 일본대사가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했다”고 인정한 부분이 전부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군함도를 비롯해 야하타 제철소, 나가사키 조선소, 다카시마 탄광 등에는 한국인 3만3400명이 강제 동원됐다. 특히 1943년부터 1945년 사이 군함도에서는 500∼800명의 한국인이 강제 노역을 했고 이 중 122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