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존 볼턴 회고록 파장

볼턴 "트럼프, 시진핑에 대선 이기게 해달라 간곡히 부탁" 폭로

댓글 5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자신의 재선을 도와달라고 부탁했다는 폭로가 나왔습니다.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곧 출간 예정인 저서 '그것이 일어난 방: 백악관 회고록'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농민 표심을 얻기 위해 중국에 미 농산물 수입을 늘려줄 것을 요청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뉴욕타임스(NYT) 등 미 주요 언론은 17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이 담긴 볼턴 전 보좌관의 신간 일부 발췌록을 소개했습니다.

WSJ에 실린 발췌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노골적인 재선 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당시 두 정상 간 막후 대화를 언급하면서 "그때 트럼프는 놀랍게도 이야기를 미국의 차기 대선으로 돌렸다"며 "시 주석에게 자신이 (대선에서) 이기게 해달라고 간곡히 부탁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농민, 중국의 대두와 밀 수입 증대가 선거 결과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덧붙였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 주석이 농산물 문제를 우선 순위에 두고 협상을 재개하는 데 동의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은 300년간 가장 위대한 중국 지도자!"라고 기뻐했다가 몇분 뒤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도자"라며 수위를 더 높였다고 합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11월 미 대선에서 승부처가 될 농업 지역(farm states)에서 유권자 표심을 얻기 위해 중국에 미국산 농산물을 더 많이 살 것을 요청했다는 의미여서 파장이 예상됩니다.

당시 대화를 가리켜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의 마음 속에 자신의 정치적 이익과 미국의 국익이 섞여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난 백악관 재임 시절 트럼프의 중요 결정 가운데 재선을 위한 계산에서 나오지 않은 게 하나라도 있는지 찾는 데 애를 먹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2018년 12월 아르헨티나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트럼프는 농업 지역을 돕기 위해 단지 중국의 농산물 구매 확대만을 요구했다. 만약 그렇게 합의됐다면 미국의 모든 (대중)관세는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SBS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사례들을 근거로 볼턴 전 보좌관은 "민주당 탄핵 옹호론자들이 우크라이나 문제에만 너무 집착하지 않고 시간을 들여 트럼프 외교정책 전반에 걸쳐 그의 행동을 더욱 체계적으로 조사했다면, 탄핵 결과는 달랐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NYT에 따르면 볼턴 전 보좌관은 저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좋아하는 독재자들에게 사실상 개인적 혜택을 주기 위해 몇몇 범죄수사들을 중단하고 싶어한다는 의향을 표현했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터키 할크방크, 중국 ZTE 등에 대한 수사에 개입하고 싶어했다는 것입니다.

미중 문제를 포함해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적 무지와 불개입주의에 관한 일화도 저서에 다수 소개됐습니다.

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이 핵무기 보유국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것처럼 보였고, '핀란드는 러시아의 일부인가'라고 물어본 적이 있다고 볼턴 전 보좌관은 적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탈퇴 결정을 거의 내릴 뻔했다고 합니다.

지난해 6월 홍콩에서 150만 명의 군중이 송환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자 트럼프 대통령은 "난 개입하고 싶지 않다. 우리도 마찬가지로 인권문제가 있지 않느냐"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볼턴 전 보좌관이 전했습니다.

같은 달 중국 톈안먼 사건 30주년 추모일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차원의 성명 발표를 거부하면서 "그건 15년 전의 일"이라는 부정확한 언급과 함께 "누가 그 일을 상관하느냐. 난 협상을 하려고 한다. 다른 건 원하지 않는다"라고 말한 것으로 소개됐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마부작침] 민식이법이 놓친 것들
▶ '친절한 애리씨' 권애리 기자의 '친절한 경제'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