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5G·자동차로까지 번진 중국-인도 갈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강기준 기자]
머니투데이

/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경 문제를 둘러싸고 '쇠못 몽둥이'까지 휘두르며 충돌했던 중국과 인도간 갈등이 5G, 자동차, 나아가 국제 무역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다. 상황이 악화하면 글로벌 기업들이 입는 피해가 커질 것이란 예상이다.

29일 닛케이아시안리뷰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중국 화웨이의 5세대(5G) 이동통신 장비를 비롯해 자동차 분야를 타깃으로 제재 수위를 올리고 있다.

인도 정부는 국영 이동통신사들에게 4G 장비 업그레이드나 5G 네트워크 시범사업에 화웨이나 ZTE 장비를 사용할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

또 인도 마하라슈트라주는 만리장성자동차의 인도 현지 공장 가동 승인을 보류했다. 만리장성자동차는 미 제너럴모터스가 사용하던 공장을 4억9800만달러(약 6000억원)를 투입해 인수한 뒤 내년부터 자동차 판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었다. 이밖에 마하라슈트라 주정부는 중국산 전기 버스 등의 운행도 중단시킬 예정으로 알려졌다.

닛케이는 인도 정부가 중국산 에어컨, 자동차 부품, 가구, 화학물질, 철강 등 370여개 이상 품목에 고율의 관세 등 무역 장벽도 높이기 위해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인도 산업무역진흥청(DPIIT)은 아예 중국산 수입품을 대체해 수입하거나 자국내 조달할 수 있는 국가 및 업체명 리스트 작성에 나섰다. 이에따라 한국, 일본, 대만 등이 일부 수혜를 얻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CNN은 중국과 인도간 갈등이 국제 무역 문제로 까지 번질 조짐이라고 했다.

인도 휴대폰·전자제품 협회(ICEA)는 지난 23일 인도 재무부에 서한을 보내 정부가 항구와 공항 등에서 중국산 제품의 통관 절차를 지연시키면서 부품 공급이 원활치 않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항의했다.

ICEA에는 애플, 폭스콘 등 글로벌 업체들이 가입돼 있어 양국간 갈등이 자칫 국제적인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만 닛케이는 2018년 인도 수입의 14%를 중국이 차지한 만큼 중국 보이콧이 인도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도와 중국간 갈등은 지난 15일 국경분쟁 지역인 카슈미르 라다크 지역에 600여명의 군인간 난투극이 일어나면서 빚어졌다. 당시 중국군은 쇠못 몽둥이를 비롯해 돌맹이까지 동원했고, 그 결과 인도군 20명이 사망했다. 중국군은 정확한 사상자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강기준 기자 standard@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