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동북아 5위 경제권 도약" 남해안권 10년 발전 계획 확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토부 국토정책위서 종합계획 의결

10년간 20.5조 투입 45.7조 생산유발

조선·철강 등 기존 산업 관광·신산업 대체

지역내총생산, 관광지 방문객수 성장 전망

"남해안권, 새로운 국토 성장축 비상 기대"

뉴시스

[서울=뉴시스]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 공간구상도(사진 = 국토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인준 기자 = 남해안권의 저출산 고령화 가속화와 조선 등 지역산업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10년 장기 발전 계획이 확정됐다.

남해안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고 조선, 화학, 철강 등 기존 주력 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한편 교통과 자연, 전통 문화자원 등 지역 간 연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주내용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오는 2030년까지 민자를 포함해 20조5495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이에 따른 생산유발효과 45조7192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5조591억원, 28만6137명의 고용창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30일 제21회 국토정책위원회에서 향후 2030년까지 남해안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에 대해 심의·의결 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2010년 5월에 수립한 계획을 변경해 2030년까지 향후 10년의 남해안권 발전정책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제시했다.

종합계획은 '상생과 번영의 남해안 공동체'를 비전으로 ▲동북아 5위 경제권 도약 ▲새로운 국토성장축 형성 ▲2시간대 통합 생활권 달성 등 3대 목표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내총생산(GRDP)는 2030년 315조원으로, 2017년(185조원) 대비 70.3% 증가하고, 관광지 방문객수는 같은 기간 214.4% 증가한 2182만5000명으로 불어날 전망이다. 반면 삼림면적률은 60.4%로 그대로 유지하고, 보호지역 비율은 15%로 기존보다 5% 더 늘어나게 된다.

계획에 따르면 남해안의 우수한 자연경관 등을 활용한 섬관광, 역사·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지대 육성, 폐교 등 유휴시설을 활용한 관광 명소화, 통합관광브랜드 개발?홍보 등이 추진된다.

또 마리나 조성·해양레포츠 등 해양레저 관광활성화, 관광·휴양·레저 기능을 갖춘 복합형 패키지 공간 조성 등을 통한 고부가 해양관광산업을 육성책도 담겼다. 섬진강 양안의 우수한 자연 및 전통 문화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광역관광 네트워크 구축으로 지역관광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기존 주력 산업은 드론(무인기), 첨단 신소재 산업,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클러스터 등 친환경 해양산업으로 대체 된다.

새로운 해운·물류 환경에 맞춰 스마트 물류단지 조성 등 글로벌 항만·물류거점을 조성하는 한편 광역 도로, 철도망, 남해안권 국도·고속도로 개설 등 교통 연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이병훈 국교부 동서남해안및내륙권발전기획단 기획관은 "남해안권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토 성장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각 해당지자체와 협업을 통해 관광여건 및 신기술 발전에 대응해 새로운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join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