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람 감염' 새 돼지독감 바이러스 中서 발견 "팬데믹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과학자들, 도축장과 동물병원 돼지들로부터 새 바이러스 발견

신종 돼지독감 바이러스 'G4 EA H1N1' 사람 감염 사례 나와

변이시 대유행 가능성

중국에서 새로운 돼지독감 바이러스가 발견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람이 감염될 수도 있어 또 다른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조선일보

AP통신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9일(현지시간) BBC방송 등에 따르면. 중국 대학과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CCDCP) 소속 과학자들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G4 EA H1N1(이하 G4)’라고 이름 붙여진 이 바이러스는 신종인플루엔자(H1N1) 계통으로 돼지에 의해 옮겨지나, 사람에게도 전파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진은 2011~2018년 중국 10개 지방의 도축장과 동물병원의 돼지들로부터 3만건의 검체를 채취, 179개의 돼지독감 바이러스를 뽑아냈다. 기존에 알려진 신종 플루 바이러스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 새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G4가 팬데믹을 불러 일으킨 다른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인간 감염에 필요한 모든 필수적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고 밝혔다. 감염시 사람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페럿(족제비의 일종)을 이용한 실험에서 이 바이러스가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고 전염성이 강하며 인간 세포에서 자가 복제를 했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연구진은 이 바이러스가 도살장· 축산농가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서 이미 감염 사례가 나왔다고 밝혔다. 돼지 사육장에 근무하는 이들을 상대로 한 항체 검사에서는 전체 근로자의 10.4%가 항체를 갖고 있어 이미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국 10개 지역에서 발견된 신종인플루엔자 상당수가 이 바이러스 계열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람 간 감염에 대한 증거는 없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연구진은 G4가 여러 감염 과정을 걸쳐 변이를 통해 사람 간 감염이 용이해지면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놨다.

제임스 우드 영국 케임브리지대 수의학 교수는 BBC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우리가 계속해서 새로운 병원체 출현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인간과 많이 접촉하는 농가의 가축이 팬데믹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준다”고 말했다.

[이옥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