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국가 생태계·생물다양성 보전 위한 밑그림 그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학계·시민사회 참여 '생물다양성 2030 미래포럼' 발족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정부·학계·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2030년까지의 국가 생태계·생물다양성 정책의 비전 및 목표와 핵심과제를 도출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환경부는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서울가든호텔에서 '생물다양성 2030 미래포럼'을 발족했다.

이번 포럼은 최근 쟁점이 되는 기후 위기 및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과 연계해 우리나라의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의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10년간의 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발족했다.

이러한 생물다양성 보전의 움직임은 최근 국제사회의 흐름과도 맞물려 있다.

유엔 생물다양성협약은 향후 10년간의 국제사회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및 목표를 담은 '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2021년에 채택할 예정이다.

유럽연합(EU)은 올해 5월 '유럽연합 2030 생물다양성 전략' 초안을 발표한 바 있다.

포럼에는 총괄, 녹색복원, 야생생물, 보호지역·생태계 서비스 등 4개 분과에 정부·전문가·산업계·시민사회·청년 등 관계자 39명이 참여한다.

포럼 참가자들은 올해 말까지 분과별 심층 토론과 전체 토의 등을 거쳐 2030년까지 국가 생태계·생물다양성 정책의 목표 및 핵심과제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다.

이날 발족식에서는 공동위원장인 홍정기 환경부 차관과 이우신 서울대 명예교수가 각각 개회사와 기조발표를 했으며, 위원들과 포럼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홍정기 차관은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기후변화 및 코로나19 위기는 생물다양성의 손실과 무관하지 않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우리나라의 생태 위기를 진단하고 질병·기후변화·오염 문제 해결, 훼손된 국토의 복원, 생태계 서비스 기반 경제발전 등 10년을 내다보는 정책 방향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bookmani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