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2 (일)

中 재생에너지 보조금 확대에..국내 태양광 업계 ‘울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재생에너지 보조금 작년대비 7.5% 증액

국내 전체 태양광 산업 매출比 30% 이상 많아

"中 저가공세 심화..국내 태양광 생태계 고사 위기"

[이데일리 김영수 기자] 중국 정부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확대에 국내 태양광 업계가 울상을 짓고 있다. 중국 태양광 제품 제조사들이 압도적인 내수시장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해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서다. 특히 국내 시장 잠식 속도도 더욱 빨라지면서 앞으로 태양광 업계가 고사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30일 태양광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조금을 작년 120억달러(약14조4600억원)에서 올해 130억달러(15조6600억원)로 7.5% 증액하면서 태양광 모듈 제조사들의 시장 확대를 측면지원하고 나섰다. 모듈은 태양광발전소에 설치되는 대형 패널로, 태양광 제조업 생태계의 최상위를 차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보조금엔 60억달러(약 7조2312억원), 풍력발전 보조금엔 50억달러(약 6조260억원)가 각각 배정됐다. 태양광 보조금 예산의 경우 작년대비 14% 증가한 수준이다.

업계는 현재 중국 제조사들이 규모의 경제를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로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만큼 이번 보조금 증액으로 시장지배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기준 세계 태양광 시장의 중국기업 점유율은 폴리실리콘 64%, 웨이퍼 92%, 셀 85%, 모듈 80%에 달한다. 한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태양광 시장 규모가 10배 이상 차이가 벌어진데다 보조금만 놓고 보더라도 국내 기업들 매출보다 많은 수준이라 경쟁이 안된다”고 토로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태양광 산업 매출은 9조9671억원으로 전년대비 되레 2.3% 감소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의 이번 재생에너지 보조금 규모가 우리나라 전체 태양광 산업 매출(내수/수출 포함)과 비교할 때 30% 이상 많은 셈이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그린 뉴딜에 책정된 지원 규모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3일 청와대가 밝힌 그린 뉴딜 계획에 따르면 2022년까지 12조9000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13만3000개를 만든다는 게 목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그린 뉴딜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예산이 많이 부족한데다 구체적인 실행계획도 모호한 상황”이라며 “가뜩이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중국 태양광 업체들이 더 많은 지원을 받아 해외 시장, 특히 한국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미 중국 제조사들은 한국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들어 1~4월 중국산 태양광 모듈 수입액은 총 1억1758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2.6% 증가했다. 이중 중국에서 들여온 액수는 1억1508만달러로, 국내에 들여오는 대부분의 모듈이 중국산인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내 태양광 업계는 중국 제조사들의 저가공세에 직면하면서 고사위기에 처할 가능성도 제기한다. 올초 OCI와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 생산을 중단키로 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폴리실리콘뿐 아니라 셀, 모듈 등 핵심 소재 역시 중국의 잠식률이 커진다면 국내 태양광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같은 선례 때문이다.

업계는 글로벌 생산시설 구축과 마케팅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는 한화큐셀, LG전자 비즈니스솔루션(BS)사업본부,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등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기업들을 제외하면 중견 제조사들은 미래를 예측키 어렵다고 내다보고 있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저가공세가 더욱 심화된다면 국내 태양광 생태계가 무너지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내수 활성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보조금 증액뿐 아니라 투자비(R&D) 지원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