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3 (월)

"한국 반도체 소부장 경쟁력, 일본에 근접.. 실제 수입 어려움 겪은 기업 23.5% 그쳐" [일본 수출규제 1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경련, 비금융회사 149곳 설문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1년간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경쟁력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30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액 상위 149개사(비금융 업종)를 대상으로 일본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경쟁력 변화를 파악해보니 이같이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92.7→98.7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해당 업종의 일본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기준을 삼았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해 7월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대 품목 수출규제 이후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가장 컸음을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1차금속 제조업 88.1→92.5, 식료품 제조업 91.9→96.3,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 97.0→101.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96.1→97.8로 경쟁력이 상승했다. 조사대상 기업 중 일본의 수출규제와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가) 제외 조치로 실제 수입에 어려움을 겪은 기업은 23.5%에 불과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일본의 조치가 실제 수출규제로 이어진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는 방증"이라며 "조사대상 기업의 68.5%는 수출규제 이후에도 소부장 수입선을 국내나 제3국으로 대체하지 않고 종전과 같이 일본에서 수입을 계속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66.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11.4%), '미국의 한·일 간 중재'(7.4%) 등의 순이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우리 소부장 경쟁력이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에 소부장 경쟁력을 일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의 꾸준한 노력과 함께 양국 정부도 수출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