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RPA 과제 발굴 및 설계 워크숍' 7월 24일 개최 예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그간 사람이 처리해왔던 반복적인 업무를 사전에 설정한 프로세스대로 봇(Bot)이 처리하고 이를 자동화하는 기술인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확산이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이같이 국내외 여러 기업과 각 기관의 RPA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2020년에는 RPA 도입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리서치앤마켓이 최근 발표한 ‘전 세계 RPA 시장 점유율·트렌드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전 세계 RPA시장은 연평균 32.5%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25년 기준 약 4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니스트 & 영'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의 초기 RPA 프로젝트의 50%가 실패한 것으로 나타나 적잖이 충격을 주고 있다. 실제 국내 RPA 초기 프로젝트의 성공, 실패율은 아직 공식적으로 조사된 바 없지만, 대체적으로 50%를 상회할 것이라고 업계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RPA 전문 기업인 오토메이션애니웨어는 RPA 여정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실수 7가지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 처음부터 엔드투엔드 프로세스 전체를 자동화하려 한다

- RPA 전문가(또는 전담조직)이 모든 일을 수행한다

- 여러 측정 항목을 기반으로 한 복잡한 프로그램

- RPA 도입 여정에 IT 또는 인프라팀이 너무 늦게 참여한다

- 도입 효과보다는 RPA 봇 가동률에 집착한다

- 봇 운용 현황 및 효과에 대한 모니터/분석을 처음부터 수행하지 않는다

- RPA 자동화 KPI를 업무부서가 관리하지 않는다

따라서 RPA 과제 발굴 및 설계 단계의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한다고 RPA 프로젝트 컨설턴트들은 설명하는데 그래야 과제 기획부터 도입, 구축, 운영 및 변화 관리의 전 과정이 유기적으로,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연계되어 작동되며, 이를 통해 조직 내에서 자연스럽게 성장, 발전하여 원하는 결과를 맺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RPA 도입 초기 단계인 국내 시장 특성상 아직 이 같은 RPA 과제 발굴에서부터 변화 관리의 전 프로세스에 대한 교육 과정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런 시기에 전자신문인터넷이 'RPA 과제 발굴 및 설계 워크숍 - 기획, 구축, 운영, 변화 관리까지' 워크숍을 7월 24일 금요일 (14:00~18:00) 잠실역 광고문화회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교육은 2년간 글로벌하게 확보한 300여 개의 IBM RPA 레퍼런스와 국내 다양한 고객사의 RPA 프로젝트 경험을 토대로, RPA 기획과 전 과정에 걸친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강의를 맡은 IBM의 정욱아 부장(Client Technical Professional)은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장은 "현재 여러 산업군(금융, 유통, 제조, 제약 등)의 RPA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PA 과제발굴 및 지능형 자동화(Intelligent Automation) 실현을 위한 고객 워크샵을 병행하고 있다."고 말하며 "지난 2년간 국내 기업 고객들을 위한 RPA 프로젝트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금번 RPA 교육 강의를 준비하였으며, 이번 교육을 통해 RPA 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IT기획팀, 전략혁신팀, DT추진팀, 미래혁신팀, 기업문화팀 담당자분들의 RPA 사업 준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특강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기획 단계]

- RPA 개요 이해

- RPA Players 정보 수집 (솔루션업체, 컨설팅업체, 구축 서비스 업체 등)

- RPA 활용 사례 수집 (산업군별 RPA use cases)

- RPA를 활용한 HyperAutomation 실현 방안

- RPA 사업자 선정을 위한 PoC 검증 방안

[도입 단계]

- RPA 과제 발굴 및 설계

- RPA 봇 타스크 설계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링 툴 체험

- RPA Discovery workshop 프로그램 소개(방법론, 템플릿 등)

[구축 단계]

- RPA 시스템 아키텍쳐

- 산업군별 RPA 구축 사례 (금융, 유통, 제조, 제약 등)

- RPA 구축 시 주요 고려사항(lessons-learned)

[운영 단계]

- RPA 운영을 위한 CoE 조직 구성 방안

- RPA 운영방안 설계(시스템, 프로세스, 장애관리 등)

- RPA 추가 과제 발굴 및 적용 방안(포탈 활용 사례)

[변화관리]

- RPA 내재화를 위한 변화관리 방안

-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변화관리 Best Practices

교육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전자신문 홈페이지(https://conference.etnews.com/conf_info.html?uid=147)를 참조하면 된다.

전자신문인터넷 유은정 기자 (judy6956@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