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정현찬 농특위원장 "현장소통 강화, 농어업회의소 법제화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0일 취임식 업무개시…'농정 5대 과제' 실천방안 마련

"농어업인 살리고 국민식탁 책임지는 농정 지향"

이데일리

정현찬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농특위) 위원장이 30일 농특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농특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정현찬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농특위) 위원장은 “현장 농어업인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소통하는 장이 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겠다”면서 “농어업인의 지지와 국민의 공감대 속에서 농정 개혁을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농특위 대회의실에서 가진 취임식에서 “40년간의 농민단체 경험을 바탕으로 농어업인을 살리는 농정, 국민의 식탁을 책임지는 농정에 온 힘을 다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취임식은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박영범 대통령비서실 농해수비서관과 농특위 3개 분과위원회 위원장, 3개 특별위원회 위원장, 사무국 직원 등 최소인원 20여명만 참석한 가운데 약식으로 진행됐다.

정 위원장은 “평생 농사짓고 농민운동을 하던 사람에게 농특위원장의 소임을 맡겨주신 것은 농특위를 현장 중심으로 이끌어 가라는 뜻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제시한 △사람과 환경 중심의 농정 구현 △살고 싶은 농어촌 건설 △농수산물 수급관리와 가격시스템 선진화 △더 신명나고 더 스마트한 농어업 구현 △푸드플랜을 통한 안전한 먹거리 제공의 ‘농정 5대 과제’의 실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식량안보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면서 “재배 작물의 종류를 다각화하고, 생산된 농산물이 안정적으로 유통·저장·소비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중앙 주도의 하향식 농정 방식으로는 새로운 틀로 농정을 전환하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정부, 지자체, 민간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농어업인의 농정 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농어업회의소 법제화를 농어업단체 등과의 합의를 거쳐 적극 지원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지난 25일 위축된 정 위원장은 1948년 경남 진주 출생으로,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2002~2003년)과 가톨릭농민회 전국회장(2014~2018년)을 역임했고, 농림축산식품부 농정개혁위원회 공동위원장(2017~2018년)을 맡은 바 있다. 지난해부터 ‘생명평화일꾼 백남기농민 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농특위는 농어업·농어촌 현장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대통령 직속 기구다. 2009년 이후 사라졌었으나 2018년 12월7일 본회의에서 관련 법안이 국회 통과하면서 10년 만에 부활해 2024년 4월까지 5년 동안 존속한다. ‘농정의 틀을 사람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을 시행하기 위해 지난해 4월 출범했다.

농특위에는 농식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장관은 물론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등 관계부처장이 정부측 당연직 위원, 농어민단체 대표와 학계 전문가가 민간측 위촉직 위원으로 참여해 대통령에게 현안을 직접 전하고 정책에 이를 반영한다. 위원장은 1명을 포함해 30인 이내의 위원이 2년 임기(연임 가능)로 활동하고 있다.

이데일리

정현찬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농특위) 위원장(앞줄 왼쪽 4번째)이 30일 농특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농특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